AD
중국 측 대출로 인도네시아에 건설된 고속철도 `후시`가 개통 2년 만에 실적 부진에 빠져 인도네시아 정부가 중국과 채무 조정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4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로산 루슬라니 인도네시아 투자부 장관은 최근 중국과 고속철도 채무 관련 협의를 시작했다면서 "채무 불이행을 회피하기 위해 포괄적 개혁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와 주요 도시 반둥을 잇는 후시는 2023년 10월 운전을 시작한 동남아시아 첫 고속열차입니다.
길이 142㎞ 구간을 최고 시속 350㎞로 운행합니다.
자카르타에서 반둥까지 자동차로는 약 3시간이 걸리지만, 고속열차를 타면 40분 만에 닿습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본래 일본 고속열차 신칸센을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를 추진한 중국 제안을 받아들여 중국 자본으로 고속철도를 건설했습니다.
총사업비 72억 달러(약 10조3천억원) 가운데 75%인 54억 달러(약 7조7천억원)는 중국개발은행 융자이며, 융자에 대한 이자는 연간 약 1억2천만 달러(약 1천700억원)라고 닛케이가 현지 언론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인도네시아 측은 고속철도 운행 수익으로 채무를 변제할 방침이었으나, 연간 매출이 1억1천만 달러(약 1천570억원) 정도로 추산돼 승차권 수입만으로는 이자도 내지 못한다고 신문은 덧붙였습니다.
고속철도를 운영하는 인도네시아·중국 합자회사(KCIC) 주요 주주인 인도네시아 철도공사(KAI) 측은 고속철도 채무 문제가 `시한폭탄`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닛케이는 "당초 하루 승객 목표가 5만∼7만6천 명이었으나 실제로는 평일 1만6천∼1만8천 명, 주말 1만8천∼2만1천 명으로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며 "역이 중심부에서 멀고 운행 구간이 짧아 이용객이 늘지 않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4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로산 루슬라니 인도네시아 투자부 장관은 최근 중국과 고속철도 채무 관련 협의를 시작했다면서 "채무 불이행을 회피하기 위해 포괄적 개혁을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와 주요 도시 반둥을 잇는 후시는 2023년 10월 운전을 시작한 동남아시아 첫 고속열차입니다.
길이 142㎞ 구간을 최고 시속 350㎞로 운행합니다.
자카르타에서 반둥까지 자동차로는 약 3시간이 걸리지만, 고속열차를 타면 40분 만에 닿습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본래 일본 고속열차 신칸센을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를 추진한 중국 제안을 받아들여 중국 자본으로 고속철도를 건설했습니다.
총사업비 72억 달러(약 10조3천억원) 가운데 75%인 54억 달러(약 7조7천억원)는 중국개발은행 융자이며, 융자에 대한 이자는 연간 약 1억2천만 달러(약 1천700억원)라고 닛케이가 현지 언론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인도네시아 측은 고속철도 운행 수익으로 채무를 변제할 방침이었으나, 연간 매출이 1억1천만 달러(약 1천570억원) 정도로 추산돼 승차권 수입만으로는 이자도 내지 못한다고 신문은 덧붙였습니다.
고속철도를 운영하는 인도네시아·중국 합자회사(KCIC) 주요 주주인 인도네시아 철도공사(KAI) 측은 고속철도 채무 문제가 `시한폭탄`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닛케이는 "당초 하루 승객 목표가 5만∼7만6천 명이었으나 실제로는 평일 1만6천∼1만8천 명, 주말 1만8천∼2만1천 명으로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며 "역이 중심부에서 멀고 운행 구간이 짧아 이용객이 늘지 않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