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미국에 심각한 부작용 올 수도...트럼프 엄포에 한국도 혼돈

[자막뉴스] 미국에 심각한 부작용 올 수도...트럼프 엄포에 한국도 혼돈

2025.09.30. 오후 4:3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입니다.

작품성에 오스카상 수상까지 더해져 북미 시장에서만 5,384만 달러의 흥행 기록을 올렸습니다.

해외 영화에 100%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기생충과 같은 작품이 현실적으로 다시 나오기 쉽지 않습니다.

우선 영화를 제작할 때 북미 시장에 선판매나 판권 계약이 줄어 영화 투자 자체가 축소될 수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국내나 아시아로 시장이 한정되고 이는 콘텐츠 축소라는 악순환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큽니다.

[정민아 / 성결대학교 연극영화학부 교수 : 북미 시장이라는 굉장히 중요한, 어떤 시장 파이가 크다기보다는 주목도라든지, 어떤 존재감을 증명하기 위해서 굉장히 중요한 시장인데 이 시장이 타격을 입는다는 것은 저희 한국 영화가 세계로 뻗어 나가는 데 있어서 일단은 어떤 하나의 큰 허들이 생겼다고 봐야죠.]

반면 트럼프의 관세 부과 방침은 엄포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많습니다.

할리우드 영화의 특성상 전 세계에서 촬영이 이뤄지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영화의 국적 정의가 쉽지 않습니다.

또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미국 내 영화 수입 급감과 콘텐츠 편중, 이로 인한 미국 영화시장 위축 등 오히려 부작용이 더 크다는 것입니다.

특히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미국 기업이 엄청난 흑자를 보는데 굳이 관세를 부과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세드릭 더 엔터테이너 / 영화배우 : 실제 트럼프 대통령도 두 차례나 해외 영화 관세 방침을 밝혔지만 구체적인 부과 기준이나 실행 계획을 밝히지는 않고 있습니다.]

다만, 관세 부과와는 별개로 OTT에 시장을 잠식당하고 투자마저 축소된 한국 영화가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

YTN 박순표입니다.

영상편집ㅣ전자인
자막뉴스ㅣ이 선 고현주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