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전라북도에 있는 한 애견동반 카페.
강아지가 입가에 하얀 거품을 묻히고 음료를 핥아 먹습니다.
반려견을 뜻하는 멍멍이와 카푸치노의 합성어, 이른바 '멍푸치노'입니다.
[카페 직원 : 멍푸치노는 펫밀크랑 우유 들어가 있고….]
그런데 알고 보면 허가받지 않은 수제 반려동물 간식 판매는 불법입니다.
KB금융경영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반려동물 가구는 약 591만 가구.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구가 늘면서 수제 간식 판매도 덩달아 확산했지만, 어떤 재료로, 어떤 시설에서 만들어지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서남철 / 전북 완주군 봉동 : 수제 간식이 어떤 환경에서 제대로 만들어지는지도…. 어떤 재료가 들어갔다고 정확하게 나오지 않으니까….]
현행 사료관리법상 반려동물 간식은 '사료'로 분류돼, 사료제조업 등록을 마친 뒤에만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북 지역 내 애견카페 65곳 가운데 사료제조업 등록을 마친 곳은 단 4곳뿐.
등록 없이 간식을 판매하다 적발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전북도청 관계자 : (신고 없이 한마디로 팔고 계셨다는 거잖아요? 가게에서) 그렇죠, 상황은.]
전문가들은 검증되지 않은 간식이 반려동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국가의 안전 관리 절차를 모두 비켜가기 때문입니다.
[최영민 / 전 서울시 수의사회 회장 : 영양 성분은 제대로인지, 유해 성분은 없는지, 농약이 있는지 이런 검사를 해야 하는데…. 등록을 안 해버리면 법은 있지만, 관리가 하나도 안 되는 거잖아요.]
결국, 사료제조업 등록 여부가 반려동물 먹거리의 안전을 가르는 기준이 되는 셈입니다.
반려동물 가구가 늘고 있는 만큼, 먹거리 안전 관리도 더 꼼꼼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윤지아입니다.
영상기자ㅣ여승구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강아지가 입가에 하얀 거품을 묻히고 음료를 핥아 먹습니다.
반려견을 뜻하는 멍멍이와 카푸치노의 합성어, 이른바 '멍푸치노'입니다.
[카페 직원 : 멍푸치노는 펫밀크랑 우유 들어가 있고….]
그런데 알고 보면 허가받지 않은 수제 반려동물 간식 판매는 불법입니다.
KB금융경영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반려동물 가구는 약 591만 가구.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가구가 늘면서 수제 간식 판매도 덩달아 확산했지만, 어떤 재료로, 어떤 시설에서 만들어지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서남철 / 전북 완주군 봉동 : 수제 간식이 어떤 환경에서 제대로 만들어지는지도…. 어떤 재료가 들어갔다고 정확하게 나오지 않으니까….]
현행 사료관리법상 반려동물 간식은 '사료'로 분류돼, 사료제조업 등록을 마친 뒤에만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북 지역 내 애견카페 65곳 가운데 사료제조업 등록을 마친 곳은 단 4곳뿐.
등록 없이 간식을 판매하다 적발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전북도청 관계자 : (신고 없이 한마디로 팔고 계셨다는 거잖아요? 가게에서) 그렇죠, 상황은.]
전문가들은 검증되지 않은 간식이 반려동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국가의 안전 관리 절차를 모두 비켜가기 때문입니다.
[최영민 / 전 서울시 수의사회 회장 : 영양 성분은 제대로인지, 유해 성분은 없는지, 농약이 있는지 이런 검사를 해야 하는데…. 등록을 안 해버리면 법은 있지만, 관리가 하나도 안 되는 거잖아요.]
결국, 사료제조업 등록 여부가 반려동물 먹거리의 안전을 가르는 기준이 되는 셈입니다.
반려동물 가구가 늘고 있는 만큼, 먹거리 안전 관리도 더 꼼꼼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윤지아입니다.
영상기자ㅣ여승구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