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운전기사 불친절 등 제주 버스 관련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17일 제주도에 따르면 최근 도청 홈페이지 `제주자치도에 바란다` 코너에는 "연세도 있고 허리도 안 좋은 어머니가 버스를 타려는데 버스 기사 분이 `빨리 타라. 빨리 못 탈거면 택시 타고 다니지. 버스 타지 말라`고 화를 냈다", "승객이 3명 정도 있었는데, 기사가 그냥 나가서 5분 동안 폰 보면서 담배를 피웠다" 등의 글이 잇따라 올라왔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 대중교통 불편 신고는 2022년 524건, 2023년 634건, 2024년 376건 등 총 1천534건 접수돼 726건은 주의·경고, 650건은 과징금·과태료, 158건은 불문 처리됐습니다.
유형별로는 무정차 등 784건, 불친절 231건, 시간 미준수 146건, 경로 이탈 등 79건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올해는 지난 10일 기준 총 553건이 접수돼 이미 예년의 연간 건수에 달하고 있습니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달 주간혁신성장회의에서 대중교통 서비스 품질 개선의 시급성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오 지사는 "좋은 정책을 발굴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하려고 노력해도 현장에서 불친절한 서비스로 정책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며 "이는 심각한 문제다. 버스 기사 불친절에 대해 진단과 성찰을 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도는 지난달부터 `대중교통 이용 불편 해소 전담팀`을 가동, 불친절한 응대나 만차로 인한 승차 불가, 급출발·급정지 등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민원 해소에 나섰습니다.
불친절 관련해서는 준공영제 운수업체 평가 항목 중 친절도 비중을 상향 조정하고, 친절도에 따라 운수종사자 인센티브를 차등 지급하는 보상체계도 마련합니다.
아울러 운수종사자 근무 환경을 개선합니다.
휴게실과 화장실 등 기초 편의시설이 부족한 회차지를 대상으로 노선을 조정하거나 시설을 확충하고, 혼잡 노선의 만차 문제 해소를 위한 운행 조정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7일 제주도에 따르면 최근 도청 홈페이지 `제주자치도에 바란다` 코너에는 "연세도 있고 허리도 안 좋은 어머니가 버스를 타려는데 버스 기사 분이 `빨리 타라. 빨리 못 탈거면 택시 타고 다니지. 버스 타지 말라`고 화를 냈다", "승객이 3명 정도 있었는데, 기사가 그냥 나가서 5분 동안 폰 보면서 담배를 피웠다" 등의 글이 잇따라 올라왔습니다.
최근 3년간 제주 대중교통 불편 신고는 2022년 524건, 2023년 634건, 2024년 376건 등 총 1천534건 접수돼 726건은 주의·경고, 650건은 과징금·과태료, 158건은 불문 처리됐습니다.
유형별로는 무정차 등 784건, 불친절 231건, 시간 미준수 146건, 경로 이탈 등 79건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올해는 지난 10일 기준 총 553건이 접수돼 이미 예년의 연간 건수에 달하고 있습니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달 주간혁신성장회의에서 대중교통 서비스 품질 개선의 시급성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오 지사는 "좋은 정책을 발굴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하려고 노력해도 현장에서 불친절한 서비스로 정책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며 "이는 심각한 문제다. 버스 기사 불친절에 대해 진단과 성찰을 하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도는 지난달부터 `대중교통 이용 불편 해소 전담팀`을 가동, 불친절한 응대나 만차로 인한 승차 불가, 급출발·급정지 등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민원 해소에 나섰습니다.
불친절 관련해서는 준공영제 운수업체 평가 항목 중 친절도 비중을 상향 조정하고, 친절도에 따라 운수종사자 인센티브를 차등 지급하는 보상체계도 마련합니다.
아울러 운수종사자 근무 환경을 개선합니다.
휴게실과 화장실 등 기초 편의시설이 부족한 회차지를 대상으로 노선을 조정하거나 시설을 확충하고, 혼잡 노선의 만차 문제 해소를 위한 운행 조정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