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 경제가 미국과의 무역 갈등에 따른 수출 둔화와 내수 부진이라는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추가 경기 부양책 없이는 하반기 경제 성장률이 악화하며 `5% 경제 성장`이라는 정부 목표도 달성하기 힘들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주요 경제 지표에 따르면 8월 중국 산업생산은 작년 동월 대비 5.2% 증가하며 로이터 전망치(5.7%)와 블룸버그 전망치(5.6%)를 밑돌았습니다.
이는 작년 8월(4.5%) 이후 최저치입니다.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실적으로 집계하는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3.4% 증가하는 데 그쳐, 지난해 11월(3.0%) 이후 증가율이 가장 낮았습니다.
농촌을 뺀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에 대한 자본 투자 변화를 보여주는 1∼8월 고정자산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5% 늘었는데, 이는 2020년 이후 최악의 수치입니다.
같은 날 발표된 중국의 8월 신규주택 가격도 전년 대비 2.5% 하락하며 26개월 연속 뒷걸음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외부 환경에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요인들이 많다"면서 "중국의 국가 경제 발전은 여전히 여러 위험과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안팎에서는 중국 경제가 `침체 조짐`을 보인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내수 침체,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 따른 역풍, 장기적인 부동산 침체가 주요 경제 지표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8월 중국 경제가 침체 조짐을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역시 "미국과의 무역 전쟁과 국내 경기 침체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 소매 판매와 산업 생산량이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면서 "중국 경제에 전반적인 침체 양상이 나타난다"고 진단했습니다.
특히 지난 8일 발표된 중국의 8월 수출액은 작년 동월 대비 4.4% 증가에 그치며, 시장 전망치(로이터 5.0%)와 전월치(7.2%)을 모두 밑도는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향후 경기 전망도 대체로 부정적입니다.
싱크탱크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쉬톈천 이코노미스트는 "기저효과로 인해 중국의 주요 지표는 4분기에 악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으며, 블룸버그 통신은 분석가와 투자자들 전망을 인용해 "중국경제가 올해 말에는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경제 성장의 급격한 둔화를 막기 위한 추가 부양책 압박에 직면해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경기 부진이 8월까지 이어지면서, 중국은 단기 성장 촉진을 위한 노력 강화 압박을 받고 있다"면서 "세계 2위 경제 대국이 연초 기대 이상의 성장세를 보인 후 피로감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추가 경기 부양책 없이는 하반기 경제 성장률이 악화하며 `5% 경제 성장`이라는 정부 목표도 달성하기 힘들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주요 경제 지표에 따르면 8월 중국 산업생산은 작년 동월 대비 5.2% 증가하며 로이터 전망치(5.7%)와 블룸버그 전망치(5.6%)를 밑돌았습니다.
이는 작년 8월(4.5%) 이후 최저치입니다.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실적으로 집계하는 소매판매는 전년 대비 3.4% 증가하는 데 그쳐, 지난해 11월(3.0%) 이후 증가율이 가장 낮았습니다.
농촌을 뺀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에 대한 자본 투자 변화를 보여주는 1∼8월 고정자산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5% 늘었는데, 이는 2020년 이후 최악의 수치입니다.
같은 날 발표된 중국의 8월 신규주택 가격도 전년 대비 2.5% 하락하며 26개월 연속 뒷걸음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외부 환경에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요인들이 많다"면서 "중국의 국가 경제 발전은 여전히 여러 위험과 과제에 직면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안팎에서는 중국 경제가 `침체 조짐`을 보인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내수 침체,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 따른 역풍, 장기적인 부동산 침체가 주요 경제 지표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8월 중국 경제가 침체 조짐을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역시 "미국과의 무역 전쟁과 국내 경기 침체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 소매 판매와 산업 생산량이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면서 "중국 경제에 전반적인 침체 양상이 나타난다"고 진단했습니다.
특히 지난 8일 발표된 중국의 8월 수출액은 작년 동월 대비 4.4% 증가에 그치며, 시장 전망치(로이터 5.0%)와 전월치(7.2%)을 모두 밑도는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향후 경기 전망도 대체로 부정적입니다.
싱크탱크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쉬톈천 이코노미스트는 "기저효과로 인해 중국의 주요 지표는 4분기에 악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으며, 블룸버그 통신은 분석가와 투자자들 전망을 인용해 "중국경제가 올해 말에는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경제 성장의 급격한 둔화를 막기 위한 추가 부양책 압박에 직면해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경기 부진이 8월까지 이어지면서, 중국은 단기 성장 촉진을 위한 노력 강화 압박을 받고 있다"면서 "세계 2위 경제 대국이 연초 기대 이상의 성장세를 보인 후 피로감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