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해 유흥업소에서 결제된 법인카드 사용액 6,000억 원 가운데 룸살롱 지출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14일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법인세 접대비 신고금액(잠정)은 총 16조 2,054억 원으로 전년(15조 3,246억 원) 대비 5.7% 증가했으며, 이 가운데 유흥업소 결제액은 5,962억 원으로 6,000억 원에 근접했습니다.
유흥업소 법인카드 사용액은 2020년 4,398억 원에서 코로나19 직격타를 맞은 2021년 2,120억 원으로 급감했습니다.
이후 2022년 5,638억 원, 2023년 6,244억 원 수준으로 늘어나 최근 5년간 누적 결제액은 2조 4,362억 원에 달했습니다.
세부 항목을 보면 지난해 룸살롱에서 사용된 금액이 3,281억 원으로 전체의 55%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단란주점 1,256억 원, 요정 723억 원, 극장식 식당 534억 원, 나이트클럽 168억 원 순이었습니다.
지난해 전체 법인세 접대비 신고 금액 16조 2,054억 원 중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된 손금 인정액은 11조 1,354억 원이었습니다.
나머지 5조 701억 원은 비용으로 인정되지 않은 '세법상 부인액'으로 분류됐습니다.
김영진 의원은 "과세 당국은 유흥업소에서 사용한 업무 추진비에 대해서는 공제 한도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 역시 불필요한 업무 추진비를 줄이고 연구개발(R&D) 등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이유나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4일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법인세 접대비 신고금액(잠정)은 총 16조 2,054억 원으로 전년(15조 3,246억 원) 대비 5.7% 증가했으며, 이 가운데 유흥업소 결제액은 5,962억 원으로 6,000억 원에 근접했습니다.
유흥업소 법인카드 사용액은 2020년 4,398억 원에서 코로나19 직격타를 맞은 2021년 2,120억 원으로 급감했습니다.
이후 2022년 5,638억 원, 2023년 6,244억 원 수준으로 늘어나 최근 5년간 누적 결제액은 2조 4,362억 원에 달했습니다.
세부 항목을 보면 지난해 룸살롱에서 사용된 금액이 3,281억 원으로 전체의 55%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단란주점 1,256억 원, 요정 723억 원, 극장식 식당 534억 원, 나이트클럽 168억 원 순이었습니다.
지난해 전체 법인세 접대비 신고 금액 16조 2,054억 원 중 세법상 비용으로 인정된 손금 인정액은 11조 1,354억 원이었습니다.
나머지 5조 701억 원은 비용으로 인정되지 않은 '세법상 부인액'으로 분류됐습니다.
김영진 의원은 "과세 당국은 유흥업소에서 사용한 업무 추진비에 대해서는 공제 한도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 역시 불필요한 업무 추진비를 줄이고 연구개발(R&D) 등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이유나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