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고속도로 1차선을 달리던 승용차가 터널을 지나 2차선으로 옮깁니다.
앞서가던 1톤 트럭도 차선을 변경하던 중 정체 모를 물체가 날아옵니다.
찢어진 타이어 조각인데, 앞차가 밟고 튕겨 오르면서 사고 차량을 덮친 겁니다.
[정다현 / 피해 운전자: 갑자기 앞에 타이어 큰 것들이 널브러져 있는 거예요. 그래서 제가 2차선으로 바꿔서 가는데 앞에 있던 차가 갑자기 2차선으로 바꾸면서 뭐가 날아오는….]
타이어 조각은 대형 화물차에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CCTV 사각지대에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신고를 받은 경찰은 주변 CCTV를 확인했지만, 정차하거나 이상 징후를 보인 차량은 없었습니다.
[경찰 관계자 : 비상등을 켜고 간다든지 아니면 갓길에 화물차가 멈춘다든지 그런 게 전혀 안 보이더라고요. 대부분 보면 멈추거든요. 그런데 크기를 봤을 때는 큰 화물차 같아요.]
허리 통증까지 앓고 있던 운전자는 낙하물 사고로 전치 4주 이상의 진단이 나왔습니다.
차량 앞유리도 박살 나면서 수리 비용이 300만 원 나왔지만, 보상받을 길은 막막합니다.
[정다현 / 피해 운전자: 이렇게 큰 타이어가 터졌는데 왜 치우지 않았는지 그리고 내 몸을 많이 다쳤고, 지금 어디에 보상을 받아야 하는지….]
도로공사에 관리 책임을 물을 수는 있지만, 지난 2020년부터 5년간 낙하물 사고로 배상을 받은 경우는 238건 가운데 6건에 불과합니다.
이 때문에 도로공사의 책임 강화와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정경일 / 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 일단 도로관리청이 그래도 도로를 관리하는 입장이니까 책임지고, 여기에 대해서 세금이면 세금, 어떤 비용적인 부분을 받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런 데서 충당하면 되죠.]
도로 위의 흉기로 불리는 낙하물.
애먼 피해를 보는 운전자들이 늘고 있는 만큼 물적 손해에 대해서도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 개정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YTN 오선열입니다.
영상기자ㅣ이강휘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앞서가던 1톤 트럭도 차선을 변경하던 중 정체 모를 물체가 날아옵니다.
찢어진 타이어 조각인데, 앞차가 밟고 튕겨 오르면서 사고 차량을 덮친 겁니다.
[정다현 / 피해 운전자: 갑자기 앞에 타이어 큰 것들이 널브러져 있는 거예요. 그래서 제가 2차선으로 바꿔서 가는데 앞에 있던 차가 갑자기 2차선으로 바꾸면서 뭐가 날아오는….]
타이어 조각은 대형 화물차에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CCTV 사각지대에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신고를 받은 경찰은 주변 CCTV를 확인했지만, 정차하거나 이상 징후를 보인 차량은 없었습니다.
[경찰 관계자 : 비상등을 켜고 간다든지 아니면 갓길에 화물차가 멈춘다든지 그런 게 전혀 안 보이더라고요. 대부분 보면 멈추거든요. 그런데 크기를 봤을 때는 큰 화물차 같아요.]
허리 통증까지 앓고 있던 운전자는 낙하물 사고로 전치 4주 이상의 진단이 나왔습니다.
차량 앞유리도 박살 나면서 수리 비용이 300만 원 나왔지만, 보상받을 길은 막막합니다.
[정다현 / 피해 운전자: 이렇게 큰 타이어가 터졌는데 왜 치우지 않았는지 그리고 내 몸을 많이 다쳤고, 지금 어디에 보상을 받아야 하는지….]
도로공사에 관리 책임을 물을 수는 있지만, 지난 2020년부터 5년간 낙하물 사고로 배상을 받은 경우는 238건 가운데 6건에 불과합니다.
이 때문에 도로공사의 책임 강화와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정경일 / 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 일단 도로관리청이 그래도 도로를 관리하는 입장이니까 책임지고, 여기에 대해서 세금이면 세금, 어떤 비용적인 부분을 받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이런 데서 충당하면 되죠.]
도로 위의 흉기로 불리는 낙하물.
애먼 피해를 보는 운전자들이 늘고 있는 만큼 물적 손해에 대해서도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 개정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YTN 오선열입니다.
영상기자ㅣ이강휘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