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제선 항공편 출발 시간에 6분 늦어 탑승이 거부된 승객이 항공사를 비난하는 영상을 올렸다가 오히려 비판 여론에 직면했습니다.
8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 지난 7일 항공사를 비난하는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한 여성 승객은 "탑승 10분 전 마감인데 5분 늦었다고, 비행기 뜬 것도 아니도 문 앞에 있고, 게이트 문 안 닫혔는데 절대 안 태워준다"며 항공사를 비난하는 영상을 SNS에 게시했습니다.
이어 “끝까지 문 안 열어준다. 일반석도 아닌데”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페널티와 위약금 등 1인당 50만 원을 부담하고 새 표를 사야 했다”며 “최악의 경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영상을 살펴보면 여성 승객이 탑승구 직원을 향해 “6분 늦었는데요, 근데 출발한 거 아니니까 한 번만 해주세요”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러자 직원은 “얘기를 해보세요. 저희 못 한다니까요. 업무 진행을 해야 하니까 매니저가 말씀 좀 해주세요”라고 난색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영상을 접한 다수 누리꾼들은 “본인이 늦었는데 왜 항공사를 탓하냐”, “비행기는 물론 마을버스도 기다려주지 않는다”, "다른 승객들은 호구여서 일찍 오냐" 등 부정적 반응을 보였습니다.
항공사 직원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탑승 마감을 출발 10분 전으로 정한 것은 늦는 승객들 때문에 정시 이륙이 지연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해당 항공사 규정에도 국제선 탑승 마감은 출발 10분 전으로 명시돼 있으며, 국제선 예약 부도 위약금은 프레스티지석 기준 30만 원, 출국장 입장 후 취소 시 추가로 20만 원이 부과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8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 지난 7일 항공사를 비난하는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한 여성 승객은 "탑승 10분 전 마감인데 5분 늦었다고, 비행기 뜬 것도 아니도 문 앞에 있고, 게이트 문 안 닫혔는데 절대 안 태워준다"며 항공사를 비난하는 영상을 SNS에 게시했습니다.
이어 “끝까지 문 안 열어준다. 일반석도 아닌데”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페널티와 위약금 등 1인당 50만 원을 부담하고 새 표를 사야 했다”며 “최악의 경험”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영상을 살펴보면 여성 승객이 탑승구 직원을 향해 “6분 늦었는데요, 근데 출발한 거 아니니까 한 번만 해주세요”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러자 직원은 “얘기를 해보세요. 저희 못 한다니까요. 업무 진행을 해야 하니까 매니저가 말씀 좀 해주세요”라고 난색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영상을 접한 다수 누리꾼들은 “본인이 늦었는데 왜 항공사를 탓하냐”, “비행기는 물론 마을버스도 기다려주지 않는다”, "다른 승객들은 호구여서 일찍 오냐" 등 부정적 반응을 보였습니다.
항공사 직원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탑승 마감을 출발 10분 전으로 정한 것은 늦는 승객들 때문에 정시 이륙이 지연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해당 항공사 규정에도 국제선 탑승 마감은 출발 10분 전으로 명시돼 있으며, 국제선 예약 부도 위약금은 프레스티지석 기준 30만 원, 출국장 입장 후 취소 시 추가로 20만 원이 부과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