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이세나 앵커
■ 출연 :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 강승규 국민의힘 의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퀘어 2PM]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어서 조국혁신당 분위기를 보겠습니다. 성비위 문제가 커지면서 지도부가 총사퇴를 결정했는데요. 이런 가운데 조국 원장의 바뀐 프로필 사진도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혁신당 창단 멤버에겐 미디어 노출을 쉬라는 고언도 받았는데, 화면 보겠습니다. 그제 밤 바뀐 조국 원장의 SNS 프로필 사진입니다. 귀에 손바닥을 대고 무언가 들으려는 몸짓이죠. 조 원장은 최근 성비위 사건과 관련해소통 부족을 아쉬움으로 꼽았는데요. 그러다 보니 새 프로필은 소통, 경청에 방점이 찍힌 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이후 조국혁신당 창단 멤버장영승 전 서울경제진흥원 대표는SNS에 글을 올렸는데요. 위기를 맞은 조국혁신당에 여러 조언과 대안 제시를 했는데,가장 주목받은 문구는'조 원장의 미디어 노출 자제'였습니다. '힘들겠지만 용기를 가지라'면서도,'당분간 미디어에 노출되는 것보다잠시 쉬면서 시간을 가지시길 바란다','건강을 해칠까 걱정된다'라고 당부한다라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조국혁신당의 상황과 조국 원장의 새로 바뀐 프로필, 어떻게 보십니까?
◆박상혁> 제가 여러 차례 이 방송에서도 얘기했던 것 같은데. 조국 원장에 대해서는 관심을 좀 덜 둬야 한다라는 말씀을 했고 본인도 그동안 감옥에서 있었던 공백기간을 의식해서 그런지 너무 과도하게 행동과 노출을 했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그것이 결국 지금 여러 가지로 부메랑이 돼서 돌아오고 있고 비판의 목소리도 높습니다. 지금이라도 좀 전에 지인의 여러 가지 제안을 좀 받아들여서 물밑에서 여러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고 조금 더 차분하게 당내 정리도 하는 작업들이 필요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을 해 봅니다.
◇앵커> 지금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는데 비대위원장에 조국 원장이 거론되고 있어요. 이렇게 되면 조국 원장 생각보다 빨리 등판할 수도 있게 되는 거잖아요.
◆강승규> 그러리라고 보여지는데요. 이번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정당의 도덕성, 책임성 등이 완전히 무너진 아주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지도부의 전원 사퇴도 사태가 났을 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사무총장의 2차 가해 사태로 여론이 더 악화되자 드디어 이제서야 사퇴하지 않았습니까? 이런 부분 등이 결국 조국 원장이 다시 들어온다 하더라도 조국혁신당 그야말로 조국 원장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당이 과연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 갑니다. 특히 저는 이번 사태에서도 이렇게 보면 2차 가해까지 갈 때 보면 예전에 박원순 또 부산시장 문제, 안희정 전 충남지사 문제 등에서 볼 때 진보계열 정당이 이런 성범죄 문제가 나왔을 때 피해 호소인이나 2차 가해를 하는 모습에서 참으로 안타깝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사태에 대해서는 국민들께서 이런 부분을 어떻게 이해할지,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작 : 김서영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 강승규 국민의힘 의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퀘어 2PM]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어서 조국혁신당 분위기를 보겠습니다. 성비위 문제가 커지면서 지도부가 총사퇴를 결정했는데요. 이런 가운데 조국 원장의 바뀐 프로필 사진도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혁신당 창단 멤버에겐 미디어 노출을 쉬라는 고언도 받았는데, 화면 보겠습니다. 그제 밤 바뀐 조국 원장의 SNS 프로필 사진입니다. 귀에 손바닥을 대고 무언가 들으려는 몸짓이죠. 조 원장은 최근 성비위 사건과 관련해소통 부족을 아쉬움으로 꼽았는데요. 그러다 보니 새 프로필은 소통, 경청에 방점이 찍힌 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이후 조국혁신당 창단 멤버장영승 전 서울경제진흥원 대표는SNS에 글을 올렸는데요. 위기를 맞은 조국혁신당에 여러 조언과 대안 제시를 했는데,가장 주목받은 문구는'조 원장의 미디어 노출 자제'였습니다. '힘들겠지만 용기를 가지라'면서도,'당분간 미디어에 노출되는 것보다잠시 쉬면서 시간을 가지시길 바란다','건강을 해칠까 걱정된다'라고 당부한다라는 말도 덧붙였습니다. 조국혁신당의 상황과 조국 원장의 새로 바뀐 프로필, 어떻게 보십니까?
◆박상혁> 제가 여러 차례 이 방송에서도 얘기했던 것 같은데. 조국 원장에 대해서는 관심을 좀 덜 둬야 한다라는 말씀을 했고 본인도 그동안 감옥에서 있었던 공백기간을 의식해서 그런지 너무 과도하게 행동과 노출을 했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그것이 결국 지금 여러 가지로 부메랑이 돼서 돌아오고 있고 비판의 목소리도 높습니다. 지금이라도 좀 전에 지인의 여러 가지 제안을 좀 받아들여서 물밑에서 여러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고 조금 더 차분하게 당내 정리도 하는 작업들이 필요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을 해 봅니다.
◇앵커> 지금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는데 비대위원장에 조국 원장이 거론되고 있어요. 이렇게 되면 조국 원장 생각보다 빨리 등판할 수도 있게 되는 거잖아요.
◆강승규> 그러리라고 보여지는데요. 이번 사건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정당의 도덕성, 책임성 등이 완전히 무너진 아주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지도부의 전원 사퇴도 사태가 났을 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사무총장의 2차 가해 사태로 여론이 더 악화되자 드디어 이제서야 사퇴하지 않았습니까? 이런 부분 등이 결국 조국 원장이 다시 들어온다 하더라도 조국혁신당 그야말로 조국 원장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당이 과연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 갑니다. 특히 저는 이번 사태에서도 이렇게 보면 2차 가해까지 갈 때 보면 예전에 박원순 또 부산시장 문제, 안희정 전 충남지사 문제 등에서 볼 때 진보계열 정당이 이런 성범죄 문제가 나왔을 때 피해 호소인이나 2차 가해를 하는 모습에서 참으로 안타깝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사태에 대해서는 국민들께서 이런 부분을 어떻게 이해할지, 다시 한 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작 : 김서영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