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덜 해롭다`, `냄새가 없다`, `금연에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 궐련형·액상형 전자담배를 선택하는 흡연자가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신종담배가 일반 담배(궐련)보다 니코틴 의존도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기존의 `중독 측정자`로는 신종담배 사용자들의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함께 제기됐습니다.
8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한국금연운동협의회가 수행한 `신종담배 확산에 따른 흡연정도 표준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니코틴 의존도 지표에서 신종담배 사용자들의 중독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연구는 전국의 만 20∼69세 흡연자 800명(궐련 단독 400명, 궐련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다중사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니코틴 의존도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는 `아침 기상 후 첫 담배를 피우기까지 걸리는 시간`입니다.
이 시간이 짧을수록 중독이 심한 것으로 봅니다.
조사 결과, `기상 후 5분 이내에 담배를 피운다`고 답한 비율은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사용자가 30.0%로 가장 높았습니다.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26.0%였으며, 일반 담배 사용자는 18.5%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잠에서 깨자마자 니코틴을 찾을 만큼 의존도가 높은 사람이 신종담배 사용자 그룹에서 더 많았다는 의미입니다.
하루 흡연량에서도 다른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일반 담배 사용자는 `하루 11∼20개비`를 피운다는 응답이 45.8%로 높았던 반면,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51.0%가 `11∼20개비`를 피워 사용량이 더 많았습니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10회(개비) 이하`가 63.0%로 가장 많았지만, 사용 행태가 달라 단순 비교는 어렵습니다.
이처럼 신종담배 사용자의 흡연 행태와 니코틴 의존도가 기존 일반 담배 사용자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면서, 현재 금연클리닉 등에서 쓰는 표준 평가 도구(파거스트롬 테스트 등)로는 이들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효과적인 금연 지원을 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개비 단위로 소비하는 궐련과 달리 사용 횟수나 시간, 니코틴 용액의 농도 등 고려할 변수가 많은 신종담배의 특성을 기존 평가 도구가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보고서를 통해 신종담배 판매율 증가와 사용 행태 변화로 기존 일반 담배 중심의 평가 도구만으로는 효과적인 금연 지원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고 지적하면서, 신종담배 사용자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 평가지표를 개발해 현장에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더 나은 대안`이라는 담배 회사의 마케팅과 달리, 신종담배가 결코 니코틴 중독에서 자유로운 선택지가 아님을 이번 연구는 명확히 보여줍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하지만 이런 신종담배가 일반 담배(궐련)보다 니코틴 의존도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기존의 `중독 측정자`로는 신종담배 사용자들의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함께 제기됐습니다.
8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한국금연운동협의회가 수행한 `신종담배 확산에 따른 흡연정도 표준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니코틴 의존도 지표에서 신종담배 사용자들의 중독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연구는 전국의 만 20∼69세 흡연자 800명(궐련 단독 400명, 궐련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100명, 다중사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니코틴 의존도를 가늠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는 `아침 기상 후 첫 담배를 피우기까지 걸리는 시간`입니다.
이 시간이 짧을수록 중독이 심한 것으로 봅니다.
조사 결과, `기상 후 5분 이내에 담배를 피운다`고 답한 비율은 액상형 전자담배 단독 사용자가 30.0%로 가장 높았습니다.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26.0%였으며, 일반 담배 사용자는 18.5%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잠에서 깨자마자 니코틴을 찾을 만큼 의존도가 높은 사람이 신종담배 사용자 그룹에서 더 많았다는 의미입니다.
하루 흡연량에서도 다른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일반 담배 사용자는 `하루 11∼20개비`를 피운다는 응답이 45.8%로 높았던 반면,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51.0%가 `11∼20개비`를 피워 사용량이 더 많았습니다.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자는 `10회(개비) 이하`가 63.0%로 가장 많았지만, 사용 행태가 달라 단순 비교는 어렵습니다.
이처럼 신종담배 사용자의 흡연 행태와 니코틴 의존도가 기존 일반 담배 사용자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면서, 현재 금연클리닉 등에서 쓰는 표준 평가 도구(파거스트롬 테스트 등)로는 이들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효과적인 금연 지원을 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개비 단위로 소비하는 궐련과 달리 사용 횟수나 시간, 니코틴 용액의 농도 등 고려할 변수가 많은 신종담배의 특성을 기존 평가 도구가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보고서를 통해 신종담배 판매율 증가와 사용 행태 변화로 기존 일반 담배 중심의 평가 도구만으로는 효과적인 금연 지원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고 지적하면서, 신종담배 사용자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 평가지표를 개발해 현장에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더 나은 대안`이라는 담배 회사의 마케팅과 달리, 신종담배가 결코 니코틴 중독에서 자유로운 선택지가 아님을 이번 연구는 명확히 보여줍니다.
오디오ㅣAI 앵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