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그런데 미국의 조선업 기반이 지금 평가하자면 완전히 무너졌다, 이런 평가를 받기도 하는데 이게 우리나라와 협력을 한다고 해서 다시 부활할 가능성이 있습니까?
◇ 석병훈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렵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앵커께서 지적하신 것처럼 미국의 조선업은 작년 기준으로 민간 선박 건조량 기준으로 봤을 때 점유율이 0.1%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중국은 53%, 그다음에 한국인데 한국이 29%거든요. 그래서 중국과는 지금 안보나 경제 측면에서 대립을 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조선업을 살리기 위한 협력 파트너로는 거의 한국이 유일하게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조선업을 단기간에 현대화시키고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마스가 프로젝트는 결국 장기적인 프로젝트고 순차적으로 단계를 밟아가야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1단계로 우리 기업들이 미국의 조선소를 인수해서 거기에 투자해서 현대화하는 중에는 미국의 군함이나 함정들의 유지보수, 선박들의 유지보수는 국내에 있는 조선소에서, 한국에서 있는 조선소에서 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기 위해서는 미국의 존스법 같은 조선사업에서 규제가 있는 법을 개정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것은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을 다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만 있으면 충분히 개정을 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보고 있고요. 그다음에 1단계는 그렇게 한 다음에 미국의 조선 역량이, 조선소가 현대화가 되면 그때 거기서 일을 할 수 있는 미국의 조선업 인력을 양성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조선업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한국의 노하우를 전수하는 그런 협력도 동시에 진행될 것으로 보이는데 한 가지 우려할 점은 우리 조선업의 우수한 기술력이 미국에 의해서 순식간에 따라잡힐 수 있다, 이런 것은 상당히 우려가 되는 점입니다.
◆ 앵커
어제 조선주들의 주가 흐름을 보면 HD현대는 오르고 HD현대중공업은 급락하고 한화오션 급락하고 삼성중공업은 오르고 판단하기 어려운 모습들을 보여서 이런 것들이 시장 반응을 말해 주는 것 같기는 합니다. 물론 노란봉투법의 영향도 있었던 것 같아요. 다음에 원전 한번 살펴볼까요? SMR, 소형 모듈 원자로를 말하는 건데. 이 SMR 원자력협력 프로젝트 이런 것들도 속도를 낼 전망 이런 것들이 제기가 돼요. 어떤 부분에서 그렇습니까?
◇ 석병훈
그렇습니다. 이것은 상당히 우리나라 관련 업계에도 희소식이었다라고 저도 이렇게 보고 있는데요. 미국에서 AI 산업이 앞으로 미래 경제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이고요. AI산업에서 데이터센터에는 막대한 전력이 들어가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소형 모듈 원전이라는 것은 대형 원전과 다르게 대규모 냉각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대형 원전은 우리나라에서도 보면 동해안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는데 소형 모듈 원전은 내륙에도 만들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의 내륙에 만드는 데이터센터 근처의 소형 모듈 원전을 이용해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죠. 그다음에 탈탄소에 의해서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가장 값싸게 탄소를 생산하지 않으면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원 역시 소형모듈원전으로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특히 저소득 국가들의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으로서 소형모듈원전을 수출할 가능성이 커져서 관련 분야의 잠재력은 상당히 큽니다. 그런데 이번 기회에 한국수력원자력과 두산에너빌리티도 미국의 원전 설계업체, 그다음에 아마존웹서비스와 MOU를 체결을 해서 소형모듈원전에 관련해서 시장 확대 협력도 했고요. 페르미아메리카와 텍사스AI캠퍼스 이것은 복합센터인데 거기에 SMR MOU를 체결하는 등 여러 가지 SMR 분야에서 협력 관련된 MOU을 체결한 것은 상당히 한국 원전산업에서도 희소식이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제작 : 윤현경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그런데 미국의 조선업 기반이 지금 평가하자면 완전히 무너졌다, 이런 평가를 받기도 하는데 이게 우리나라와 협력을 한다고 해서 다시 부활할 가능성이 있습니까?
◇ 석병훈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렵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앵커께서 지적하신 것처럼 미국의 조선업은 작년 기준으로 민간 선박 건조량 기준으로 봤을 때 점유율이 0.1%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중국은 53%, 그다음에 한국인데 한국이 29%거든요. 그래서 중국과는 지금 안보나 경제 측면에서 대립을 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조선업을 살리기 위한 협력 파트너로는 거의 한국이 유일하게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조선업을 단기간에 현대화시키고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마스가 프로젝트는 결국 장기적인 프로젝트고 순차적으로 단계를 밟아가야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1단계로 우리 기업들이 미국의 조선소를 인수해서 거기에 투자해서 현대화하는 중에는 미국의 군함이나 함정들의 유지보수, 선박들의 유지보수는 국내에 있는 조선소에서, 한국에서 있는 조선소에서 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기 위해서는 미국의 존스법 같은 조선사업에서 규제가 있는 법을 개정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것은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을 다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만 있으면 충분히 개정을 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보고 있고요. 그다음에 1단계는 그렇게 한 다음에 미국의 조선 역량이, 조선소가 현대화가 되면 그때 거기서 일을 할 수 있는 미국의 조선업 인력을 양성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조선업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한국의 노하우를 전수하는 그런 협력도 동시에 진행될 것으로 보이는데 한 가지 우려할 점은 우리 조선업의 우수한 기술력이 미국에 의해서 순식간에 따라잡힐 수 있다, 이런 것은 상당히 우려가 되는 점입니다.
◆ 앵커
어제 조선주들의 주가 흐름을 보면 HD현대는 오르고 HD현대중공업은 급락하고 한화오션 급락하고 삼성중공업은 오르고 판단하기 어려운 모습들을 보여서 이런 것들이 시장 반응을 말해 주는 것 같기는 합니다. 물론 노란봉투법의 영향도 있었던 것 같아요. 다음에 원전 한번 살펴볼까요? SMR, 소형 모듈 원자로를 말하는 건데. 이 SMR 원자력협력 프로젝트 이런 것들도 속도를 낼 전망 이런 것들이 제기가 돼요. 어떤 부분에서 그렇습니까?
◇ 석병훈
그렇습니다. 이것은 상당히 우리나라 관련 업계에도 희소식이었다라고 저도 이렇게 보고 있는데요. 미국에서 AI 산업이 앞으로 미래 경제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이고요. AI산업에서 데이터센터에는 막대한 전력이 들어가게 돼 있습니다. 그런데 소형 모듈 원전이라는 것은 대형 원전과 다르게 대규모 냉각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대형 원전은 우리나라에서도 보면 동해안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는데 소형 모듈 원전은 내륙에도 만들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의 내륙에 만드는 데이터센터 근처의 소형 모듈 원전을 이용해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죠. 그다음에 탈탄소에 의해서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가장 값싸게 탄소를 생산하지 않으면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원 역시 소형모듈원전으로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특히 저소득 국가들의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으로서 소형모듈원전을 수출할 가능성이 커져서 관련 분야의 잠재력은 상당히 큽니다. 그런데 이번 기회에 한국수력원자력과 두산에너빌리티도 미국의 원전 설계업체, 그다음에 아마존웹서비스와 MOU를 체결을 해서 소형모듈원전에 관련해서 시장 확대 협력도 했고요. 페르미아메리카와 텍사스AI캠퍼스 이것은 복합센터인데 거기에 SMR MOU를 체결하는 등 여러 가지 SMR 분야에서 협력 관련된 MOU을 체결한 것은 상당히 한국 원전산업에서도 희소식이다,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
제작 : 윤현경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