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2017년 6월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첫날 환영 만찬을 마치고서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한국과 "새로운 무역협정" 을 논의했다고 적었습니다.
한미 FTA 재협상을 공식화한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청와대는 공식 부인했습니다.
[장하성 / 전 청와대 정책실장(2017년): 한·미 정상회담에서 FTA 재협상에 대하여 양측 간에 합의한 바가 없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지만 정상 회담 뒤에 가진 공동언론 발표에서도 FTA 재협상을 시사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2017년): 한국 기업들은 미국에서 자동차를 팔고 있습니다. 미국 기업들도 상호 호혜적인 기반에서 그렇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결국 미국의 FTA 재협상 요구에 응해야 했고 한국산 픽업트럭의 관세 연장 등을 양보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요한 협상을 할 때 상대를 공격적으로 압박해 최후통첩처럼 들리게 하는 전략을 활용합니다.
자신의 책 '거래의 기술'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은 강한 입장에서 협상하는 것이고, 지렛대(협상력)를 쥐고 있는 것이 강함의 핵심이라고 기술했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상대가 감내하기 어려운 조건을 던지기는 하지만 최종적으로 불합리한 결론에 이르게 하지는 않는다고 책에 쓰여 있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을 앞두고도 SNS를 활용한 압박 전술에 나섰는데, 3시간여 만에 오해였다며 자신의 발언을 수습했습니다.
YTN 신호입니다.
영상편집 | 임현철
디자인 | 박유동
자막뉴스 | 이 선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첫날 환영 만찬을 마치고서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한국과 "새로운 무역협정" 을 논의했다고 적었습니다.
한미 FTA 재협상을 공식화한 것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청와대는 공식 부인했습니다.
[장하성 / 전 청와대 정책실장(2017년): 한·미 정상회담에서 FTA 재협상에 대하여 양측 간에 합의한 바가 없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지만 정상 회담 뒤에 가진 공동언론 발표에서도 FTA 재협상을 시사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2017년): 한국 기업들은 미국에서 자동차를 팔고 있습니다. 미국 기업들도 상호 호혜적인 기반에서 그렇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결국 미국의 FTA 재협상 요구에 응해야 했고 한국산 픽업트럭의 관세 연장 등을 양보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요한 협상을 할 때 상대를 공격적으로 압박해 최후통첩처럼 들리게 하는 전략을 활용합니다.
자신의 책 '거래의 기술'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은 강한 입장에서 협상하는 것이고, 지렛대(협상력)를 쥐고 있는 것이 강함의 핵심이라고 기술했습니다.
[이재명 / 대통령: 상대가 감내하기 어려운 조건을 던지기는 하지만 최종적으로 불합리한 결론에 이르게 하지는 않는다고 책에 쓰여 있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을 앞두고도 SNS를 활용한 압박 전술에 나섰는데, 3시간여 만에 오해였다며 자신의 발언을 수습했습니다.
YTN 신호입니다.
영상편집 | 임현철
디자인 | 박유동
자막뉴스 | 이 선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