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어떻게 기회를 놓쳤나"...외신이 주목한 뼈 아픈 '결정타' [지금이뉴스]

"삼성은 어떻게 기회를 놓쳤나"...외신이 주목한 뼈 아픈 '결정타' [지금이뉴스]

2025.08.08. 오전 10:3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연산에 쓰이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에 뒤처지며 고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8일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이날 공개한 '삼성은 'AI 모먼트'를 어떻게 놓쳤나'(How Samsung Missed the AI Moment)란 제목의 오리지널 동영상 다큐멘터리에서 "삼성의 운명은 한국 경제에도 중요하다"며 이같이 지적했습니다.

이 매체는 삼성전자에 가장 비중이 큰 제품은 이익의 약 50∼70%를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인데 첨단 AI 경쟁에서 이 제품이 핵심으로 부상한 가운데 삼성이 이 경주에서 밀리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삼성의 작은 경쟁자에 불과했던 SK하이닉스는 2013년 미국 반도체 업체 AMD와 손잡고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인 HBM을 개발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습니다.

초기만 해도 HBM은 틈새시장인 비디오게임용 제품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오픈AI의 챗GPT 출시로 생성형 AI 시장이 활짝 열리며 AI 연산에 특화된 이 칩의 수요가 폭증했습니다.

하지만 이때 삼성은 HBM에 충분히 투자하지 않은 상황이었습니다.

SK하이닉스는 AI 칩 시장의 공룡인 엔비디아의 주요 공급처가 되며 일반 메모리 제품보다 수익이 훨씬 높은 HBM 시장의 62%를 장악하게 됐습니다.

반면 삼성은 올해 2분기 기준 전 세계 HBM 시장의 17%만 확보한 가운데 엔비디아에 납품할 수 있도록 이 회사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삼성은 차세대 칩으로 시장 경쟁에 다시 뛰어들겠다고 말하고 있다"며 "그럴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기자ㅣ권영희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권영희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