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에 일본 내에서 놀라움과 당혹감이 교차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한국이 일본과 유사한 조건으로 협상을 마무리한 데 따른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상호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성공했습니다.
한국은 이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약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으며, 자동차 관세 역시 동등한 수준으로 합의했습니다.
미국이 요구해온 농축산물 추가 개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협상 결과를 신속히 전하며 자국 내 여론을 전했습니다.
NHK와 아사히신문 등 주요 매체와 현지 SNS에서는 “한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관세가 15%라니 당혹스럽다”는 반응과 함께 일본 정부에 대한 불만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투자 금액 차이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컸습니다.
일본은 미국과의 협상에서 약 55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는데, 이는 한국(약 3500억달러)보다 훨씬 많은 규모입니다.
일부 일본 누리꾼은 "결국 한국이랑 같아져 버렸다는 것이냐"는 반응을 보였고, "한국이랑 같다니 어이없다", "한국은 돈도 덜 쓰고 관세도 같아졌다니 일본의 외교 실패 아닌가", "한국이랑 같은 조건이라니 짜증 나", "왜 우리만 이렇게 많이 퍼줘야 하는 거냐", "한국만 협상 성공했네. 일본은 뭐 했냐?"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다만 일부에서는 “한국 GDP가 일본의 절반 수준임을 고려하면 한국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부담을 떠안았다”며 단순 비교를 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제기됐습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드디어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며 “미국 관세를 주요 대미 수출 경쟁국보다 낮거나 같은 수준으로 맞춰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을 해소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이 일본과 유사한 조건으로 협상을 마무리한 데 따른 것입니다.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상호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성공했습니다.
한국은 이에 상응하는 조건으로 약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으며, 자동차 관세 역시 동등한 수준으로 합의했습니다.
미국이 요구해온 농축산물 추가 개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일본 언론들은 협상 결과를 신속히 전하며 자국 내 여론을 전했습니다.
NHK와 아사히신문 등 주요 매체와 현지 SNS에서는 “한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관세가 15%라니 당혹스럽다”는 반응과 함께 일본 정부에 대한 불만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투자 금액 차이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컸습니다.
일본은 미국과의 협상에서 약 55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는데, 이는 한국(약 3500억달러)보다 훨씬 많은 규모입니다.
일부 일본 누리꾼은 "결국 한국이랑 같아져 버렸다는 것이냐"는 반응을 보였고, "한국이랑 같다니 어이없다", "한국은 돈도 덜 쓰고 관세도 같아졌다니 일본의 외교 실패 아닌가", "한국이랑 같은 조건이라니 짜증 나", "왜 우리만 이렇게 많이 퍼줘야 하는 거냐", "한국만 협상 성공했네. 일본은 뭐 했냐?"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다만 일부에서는 “한국 GDP가 일본의 절반 수준임을 고려하면 한국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부담을 떠안았다”며 단순 비교를 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제기됐습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드디어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며 “미국 관세를 주요 대미 수출 경쟁국보다 낮거나 같은 수준으로 맞춰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을 해소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