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폭염이 지속하면서 전 세계에서 양산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한 서구권 인플루언서가 “아시아인의 양산 문화는 백인우월주의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을 제기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최근 틱톡(TikTok)에는 ‘아시아인들은 피부가 타는 것을 두려워한다(Asians afraid of being dark)’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영상에서 흑인 여성 틱톡커 A 씨는 “아시아인들이 왜 이렇게 피부 타는 것을 싫어하는지 궁금하다”며 “잠깐 햇볕을 쬔다고 해서 검어지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다른 인종은 조금 탄다고 해도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며 “그것은 백인우월주의”라고 주장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조회수 약 60만을 기록하며 댓글이 6200여 개 달릴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누리꾼 대부분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양산을 백인우월주의로 연결하는 발상이 더 인종차별적이다”,“자외선이 얼마나 위험한지 모르는 것 같다”, “나도 흑인인데 양산 써서 피부 보호한다” 등의 반응을 남겼습니다.
국내 SNS에서도 해당 영상이 퍼지자 “잡티와 주름 생기는 게 싫어서 양산을 쓴다”, “피부 미용이 아니라 폭염 생존템이다” 등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습니다.
양산은 아시아권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뉴욕포스트는 지난 8일(현지시간) “‘UV(자외선) 우산’은 여름철 최신 트렌드”라며 “모자, 자외선 차단제, 휴대용 선풍기도 더위 앞에서는 소용없다”고 보도했습니다.
기자ㅣ김선희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틱톡@normalizebadancing
영상출처ㅣ틱톡@pelintekdal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최근 틱톡(TikTok)에는 ‘아시아인들은 피부가 타는 것을 두려워한다(Asians afraid of being dark)’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영상에서 흑인 여성 틱톡커 A 씨는 “아시아인들이 왜 이렇게 피부 타는 것을 싫어하는지 궁금하다”며 “잠깐 햇볕을 쬔다고 해서 검어지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다른 인종은 조금 탄다고 해도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며 “그것은 백인우월주의”라고 주장했습니다.
해당 영상은 조회수 약 60만을 기록하며 댓글이 6200여 개 달릴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누리꾼 대부분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양산을 백인우월주의로 연결하는 발상이 더 인종차별적이다”,“자외선이 얼마나 위험한지 모르는 것 같다”, “나도 흑인인데 양산 써서 피부 보호한다” 등의 반응을 남겼습니다.
국내 SNS에서도 해당 영상이 퍼지자 “잡티와 주름 생기는 게 싫어서 양산을 쓴다”, “피부 미용이 아니라 폭염 생존템이다” 등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습니다.
양산은 아시아권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뉴욕포스트는 지난 8일(현지시간) “‘UV(자외선) 우산’은 여름철 최신 트렌드”라며 “모자, 자외선 차단제, 휴대용 선풍기도 더위 앞에서는 소용없다”고 보도했습니다.
기자ㅣ김선희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틱톡@normalizebadancing
영상출처ㅣ틱톡@pelintekdal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