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한미 양국이 상호관세 조정 협상을 타결지었다고 31일 밝히면서 화장품·의류·식품 등 우리나라 주요 생활소비재의 대미 수출 기업들도 어떤 영향이 있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업계는 일단 다음 달 1일부터 예정됐던 25%의 관세가 15%로 낮아지고 그동안 이어진 경제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측면에서는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수출이 대폭 늘어난 화장품 업계는 협상 이후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일단 업계에서는 자동차나 철강과 같은 전통 제조업보다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위기가 우세합니다.
식품업계의 반응은 다소 엇갈립니다.
대기업인 CJ제일제당과 농심 등은 미국에 공장을 두고 주력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어 이번 관세 협상의 영향이 미미합니다.
현재 식품업계에서는 삼양식품이 관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기업 중 하나로 꼽힙니다.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라면의 경우 그 전까지는 무관세로 미국으로 수출해왔으나 지난 4월부터 10%, 다음 달 1일부터 15%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사실상 현재로선 수출이 늘어난 삼양식품의 불닭이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불닭볶음면이 인기를 얻으면서 삼양식품의 해외 매출은 전체의 80% 수준으로 늘었습니다.
특히 미국을 포함한 미주는 매출이 작년 삼양식품 해외 매출 비중의 28%로 뛰었고, 중국과 더불어 최대 시장으로 꼽힙니다.
삼양식품은 관세 이슈가 불거진 직후부터 내부적으로 대책을 다각도로 검토해왔고, 관세 부과 후 가격 상승으로 매출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이윤을 줄이는 방안까지도 고민해왔습니다.
불닭볶음면은 미국에서 봉지당 판매 가격이 1.5달러 정도입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주요 경쟁국과 동등한 수준에서 협상이 타결돼 다행"이라며 "상황을 더 지켜봐야겠지만 일부 품목의 제품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업계는 일단 다음 달 1일부터 예정됐던 25%의 관세가 15%로 낮아지고 그동안 이어진 경제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측면에서는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수출이 대폭 늘어난 화장품 업계는 협상 이후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일단 업계에서는 자동차나 철강과 같은 전통 제조업보다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위기가 우세합니다.
식품업계의 반응은 다소 엇갈립니다.
대기업인 CJ제일제당과 농심 등은 미국에 공장을 두고 주력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어 이번 관세 협상의 영향이 미미합니다.
현재 식품업계에서는 삼양식품이 관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기업 중 하나로 꼽힙니다.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라면의 경우 그 전까지는 무관세로 미국으로 수출해왔으나 지난 4월부터 10%, 다음 달 1일부터 15%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사실상 현재로선 수출이 늘어난 삼양식품의 불닭이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불닭볶음면이 인기를 얻으면서 삼양식품의 해외 매출은 전체의 80% 수준으로 늘었습니다.
특히 미국을 포함한 미주는 매출이 작년 삼양식품 해외 매출 비중의 28%로 뛰었고, 중국과 더불어 최대 시장으로 꼽힙니다.
삼양식품은 관세 이슈가 불거진 직후부터 내부적으로 대책을 다각도로 검토해왔고, 관세 부과 후 가격 상승으로 매출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이윤을 줄이는 방안까지도 고민해왔습니다.
불닭볶음면은 미국에서 봉지당 판매 가격이 1.5달러 정도입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주요 경쟁국과 동등한 수준에서 협상이 타결돼 다행"이라며 "상황을 더 지켜봐야겠지만 일부 품목의 제품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