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 여의도 한강변에서 길이 약 10미터에 달하는 정체불명의 거대한 생명체가 포착됐다는 제보가 전해지며 누리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정담 스토리'에 올라온 '서울 한강 진짜괴물 출현'이라는 제목의 영상에 따르면, 해당 채널 유튜버 A씨는 이달 7일 밤, 여의도 국회 둔치 주차장 인근에서 밤낚시를 하던 중 강물 위로 반복적으로 떠올랐다가 사라지는 거대한 괴생명체를 발견했습니다.
처음에는 큰 고기가 걸린 줄 알았던 A씨는 검은색의 굵고 긴 물체가 점점 자신 쪽으로 다가오자 당황한 목소리로 "뭐야 저거? 무섭다, 막 이쪽으로 오고 있어"라고 말하며 긴박한 상황을 전했습니다.
결국 그는 낚시를 포기하고 자리를 떠났습니다.
A씨는 괴생명체가 약 20분간 같은 위치에서 일정한 움직임으로 유영했으며, 사람보다 더 두꺼운 굵기를 지녔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물체의 길이는 최소 6미터에서 최대 10미터 정도로 보였고, 한 마리가 아니라 두 마리처럼 보였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는 "수십 년간 낚시를 다녔지만, 이런 물체는 처음 본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영상을 접한 누리꾼들은 다양한 추측을 쏟아냈습니다.
일부는 "머리를 내밀었다가 들어가는 장면으로 볼 때 수달 여러 마리가 무리 지어 다닌 것 같다"는 의견을 냈고, 또 다른 이들은 "수달이라면 머리를 자주 내밀고 더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을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또한 "한강에 누군가 키우던 악어를 방류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애완 악어가 감당 안 될 크기로 자라 방생됐을 수 있다", "악어는 조용히 다가와 공격할 수도 있는 위험한 생물"이라는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일부는 "다 자란 비단뱀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언급했습니다.
앞서 지난 2022년에도 한강에서 유사한 크기의 괴생명체가 수영하는 영상이 퍼져 큰 관심을 모았는데, 당시 부표로 밝혀져 해프닝으로 마무리된 사례도 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류청희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유튜브 '정담 스토리'
#지금이뉴스
YTN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채널 '정담 스토리'에 올라온 '서울 한강 진짜괴물 출현'이라는 제목의 영상에 따르면, 해당 채널 유튜버 A씨는 이달 7일 밤, 여의도 국회 둔치 주차장 인근에서 밤낚시를 하던 중 강물 위로 반복적으로 떠올랐다가 사라지는 거대한 괴생명체를 발견했습니다.
처음에는 큰 고기가 걸린 줄 알았던 A씨는 검은색의 굵고 긴 물체가 점점 자신 쪽으로 다가오자 당황한 목소리로 "뭐야 저거? 무섭다, 막 이쪽으로 오고 있어"라고 말하며 긴박한 상황을 전했습니다.
결국 그는 낚시를 포기하고 자리를 떠났습니다.
A씨는 괴생명체가 약 20분간 같은 위치에서 일정한 움직임으로 유영했으며, 사람보다 더 두꺼운 굵기를 지녔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물체의 길이는 최소 6미터에서 최대 10미터 정도로 보였고, 한 마리가 아니라 두 마리처럼 보였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는 "수십 년간 낚시를 다녔지만, 이런 물체는 처음 본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영상을 접한 누리꾼들은 다양한 추측을 쏟아냈습니다.
일부는 "머리를 내밀었다가 들어가는 장면으로 볼 때 수달 여러 마리가 무리 지어 다닌 것 같다"는 의견을 냈고, 또 다른 이들은 "수달이라면 머리를 자주 내밀고 더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을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또한 "한강에 누군가 키우던 악어를 방류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애완 악어가 감당 안 될 크기로 자라 방생됐을 수 있다", "악어는 조용히 다가와 공격할 수도 있는 위험한 생물"이라는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일부는 "다 자란 비단뱀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언급했습니다.
앞서 지난 2022년에도 한강에서 유사한 크기의 괴생명체가 수영하는 영상이 퍼져 큰 관심을 모았는데, 당시 부표로 밝혀져 해프닝으로 마무리된 사례도 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류청희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유튜브 '정담 스토리'
#지금이뉴스
YTN 류청희 (chee0909@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