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제주도 주요 해수욕장에서 푸른우산관해파리가 대규모로 출몰하며 관광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2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제주 함덕과 김녕 등 제주 북부 해안가 일대에서 푸른빛의 둥근 해파리 떼가 떠다니는 영상과 사진이 잇따라 공유됐습니다.
한 이용자는 “만조 시간대에 파란 띠가 둘린 동그란 해파리가 해변으로 밀려와 깜짝 놀랐다”고 전했고, 또 다른 이용자도 “김녕 해수욕장에 해파리가 넘쳐난다”며 “동전처럼 생긴 파란색 물체를 쓰레기로 착각했는데 푸른우산관해파리가 한가득이었다”고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푸른우산관해파리는 지름 3~4cm의 작은 크기로 푸른빛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몸체 아래에는 다수의 촉수가 있어 이를 이용해 갑각류 유생 등 작은 먹이를 포획합니다.
이 해파리는 태평양과 인도양, 지중해 등 따뜻한 열대 해역에 주로 서식하지만 여름철 바람과 조수의 영향을 받아 국내 바다에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제주 해안에서 이처럼 대규모로 발견된 것은 2~3년 만입니다.
전문가들은 푸른우산관해파리의 독성이 강하지는 않지만, 민감한 피부에는 자극을 줄 수 있어 가능하면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습니다.
만약 해파리에 쏘였다면 깨끗한 바닷물이나 식염수로 상처 부위를 씻어내야 합니다.
이때 수돗물을 사용하면 독침이 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제주도는 피서객들이 해수욕과 수상 레저 활동 시 해파리를 발견하면 즉시 해안으로 이동해 안전을 확보하고, 피해가 발생하면 인근 안전요원이나 119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영상촐처ㅣ인스타그램@only_chavely
영상촐처ㅣ인스타그램@ksm3380
영상촐처ㅣ인스타그램@jbric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제주 함덕과 김녕 등 제주 북부 해안가 일대에서 푸른빛의 둥근 해파리 떼가 떠다니는 영상과 사진이 잇따라 공유됐습니다.
한 이용자는 “만조 시간대에 파란 띠가 둘린 동그란 해파리가 해변으로 밀려와 깜짝 놀랐다”고 전했고, 또 다른 이용자도 “김녕 해수욕장에 해파리가 넘쳐난다”며 “동전처럼 생긴 파란색 물체를 쓰레기로 착각했는데 푸른우산관해파리가 한가득이었다”고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푸른우산관해파리는 지름 3~4cm의 작은 크기로 푸른빛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몸체 아래에는 다수의 촉수가 있어 이를 이용해 갑각류 유생 등 작은 먹이를 포획합니다.
이 해파리는 태평양과 인도양, 지중해 등 따뜻한 열대 해역에 주로 서식하지만 여름철 바람과 조수의 영향을 받아 국내 바다에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제주 해안에서 이처럼 대규모로 발견된 것은 2~3년 만입니다.
전문가들은 푸른우산관해파리의 독성이 강하지는 않지만, 민감한 피부에는 자극을 줄 수 있어 가능하면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습니다.
만약 해파리에 쏘였다면 깨끗한 바닷물이나 식염수로 상처 부위를 씻어내야 합니다.
이때 수돗물을 사용하면 독침이 퍼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제주도는 피서객들이 해수욕과 수상 레저 활동 시 해파리를 발견하면 즉시 해안으로 이동해 안전을 확보하고, 피해가 발생하면 인근 안전요원이나 119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영상촐처ㅣ인스타그램@only_chavely
영상촐처ㅣ인스타그램@ksm3380
영상촐처ㅣ인스타그램@jbric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