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민희진 이어 이번엔 수장 리스크...하이브 잇단 악재에 ‘흔들’

[자막뉴스] 민희진 이어 이번엔 수장 리스크...하이브 잇단 악재에 ‘흔들’

2025.07.19. 오후 1:2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금융당국이 제기한 방시혁 의장의 부정거래 혐의는 하이브로 이름을 바꾸기 전, 빅히트 엔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사실 상장 준비를 해오던 방 의장 등이 초기 투자자들에겐 상장이 늦어질 것처럼 속여 가지고 있던 지분을 사모펀드에 팔게 하고,

이 사모펀드에서 추후 매각 차익의 30%를 넘겨받기로 하는 계약을 비공개로 맺으면서, 2020년 실제 상장을 계기로 막대한 규모의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게 의혹의 큰 줄기입니다.

하이브는 앞으로 더 적극적으로 해명해나가겠다는 입장이지만, 금융당국이 최고 수위 제재인 '검찰 고발'을 결정한 만큼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뒤숭숭한 시기, 하이브와 갈등해오던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가 대표 혐의인 업무상 배임 혐의에 대해 경찰에서 혐의 없음 결론을 받아냈단 소식까지 전해졌습니다.

하이브는 이제까지 법원에서 받아낸 유리한 판단들을 근거로 검찰에 이의신청은 냈지만,

민 전 대표가 이번 갈등의 출발점 격인 하이브의 고발 사건에서 웃게 된 만큼 당장 여론이 다시 들썩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하이브는 해외 현지 법인들을 통해 K팝 방법론 수출에도 앞장서고 있어, 업계에서 대표성이 큰 위치에 있습니다.

[김도헌 / 대중음악평론가 : K팝 멀티 레이블과 더불어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런 일거수 일투족이 과거와 비교했을 때 훨씬 더 큰 이슈로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죠.]

전직 레이블 대표와 분쟁에 이어 수장 리스크까지 불거진 하이브, 그 행보를 지켜보는 눈이 많습니다.

YTN 송재인입니다.

영상편집ㅣ마영후
디자인ㅣ신소정
자막뉴스ㅣ윤현경 이도형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