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여름철 불청객으로 떠오른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최근 급격히 사라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 러브버그 개체 수가 늘어나고 활동 지역이 확대된 만큼 내년을 대비해 철저한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러브버그 성충은 주로 6~7월에 등장해 일주일가량 활동한 뒤 사라지지만 문제는 내년입니다. 러브버그의 성충이 이미 수많은 알을 낳고 죽었기 때문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러브버그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알은 300~500개라고 합니다. 러브버그 생애주기는 일반적인 곤충처럼 알, 유충(애벌레), 번데기, 성충으로 이어집니다. 이 중 유충 상태로 약 1년간 삽니다.
김민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는 “러브버그는 지금 눈에 안 보여도 항상 땅속에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올해 어떤 요인이 러브버그 생존율을 높였는지 연구해봐야겠지만, 내년에도 러브버그가 대발생할 가능성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김동건 삼육대 환경생태연구소장은 “러브버그는 녹지 축을 따라 퍼져나가는 경향을 보인다”며 “2022년 서울 은평구, 올해 인천 계양구에 이어 내년에는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온라인에서는 참새나 사마귀 등이 러브버그를 잡아먹는 것을 봤다는 목격담이 나왔지만, 전문가들은 러브버그의 주요 천적은 아직 없다고 본다고 합니다.
김 박사는 “러브버그만 집요하게 찾아 먹는 특수한 천적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참새 등이 러브버그 개체 수 조절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방제 작업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러브버그가 주로 서식하는 자연산림에 살충제를 뿌리면 오히려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제작 | 최지혜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그러나 지난 몇 년간 러브버그 개체 수가 늘어나고 활동 지역이 확대된 만큼 내년을 대비해 철저한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러브버그 성충은 주로 6~7월에 등장해 일주일가량 활동한 뒤 사라지지만 문제는 내년입니다. 러브버그의 성충이 이미 수많은 알을 낳고 죽었기 때문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러브버그 암컷 한 마리가 낳는 알은 300~500개라고 합니다. 러브버그 생애주기는 일반적인 곤충처럼 알, 유충(애벌레), 번데기, 성충으로 이어집니다. 이 중 유충 상태로 약 1년간 삽니다.
김민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박사는 “러브버그는 지금 눈에 안 보여도 항상 땅속에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올해 어떤 요인이 러브버그 생존율을 높였는지 연구해봐야겠지만, 내년에도 러브버그가 대발생할 가능성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김동건 삼육대 환경생태연구소장은 “러브버그는 녹지 축을 따라 퍼져나가는 경향을 보인다”며 “2022년 서울 은평구, 올해 인천 계양구에 이어 내년에는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온라인에서는 참새나 사마귀 등이 러브버그를 잡아먹는 것을 봤다는 목격담이 나왔지만, 전문가들은 러브버그의 주요 천적은 아직 없다고 본다고 합니다.
김 박사는 “러브버그만 집요하게 찾아 먹는 특수한 천적은 발견되지 않았다”며 “참새 등이 러브버그 개체 수 조절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방제 작업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러브버그가 주로 서식하는 자연산림에 살충제를 뿌리면 오히려 생태계를 교란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제작 | 최지혜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