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조태현 앵커
■ 출연 : 서은숙 교수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 이번에는 국내 시장 상황을 볼게요. 최근에 국내 시장 분위기는 굉장히 좋습니다. 3100선을 넘어서고 분위기는 좋은데 이런 상황에서 공매도 잔액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고 해요. 이건 어떤 의미로 봐야 될까요?
◇ 서은숙 : 공매도가 뭔지 봐야 되는데요. 공매도는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단 주식을 빌려서 매도를 먼저 하고요. 그다음에 이후에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주식을 다시 사서 갚는 투자기법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이러한 전략을 쓰는 이유는 주가하락을 예상하기 때문이거든요. 주가하락시에 수익을 내기 위한 거래방식이죠. 그래서 다시 얘기하면 코스피 시장의 공매도 잔고가 9조 원을 돌파했다고 하는 것은 시장의 하락 기대감이 크다고 예측할 수 있죠. 원인은 금방 얘기한 것처럼 우리나라 코스피 시장이 굉장히 좋아지고 있긴 한데 글로벌 시장도 굉장히 불확실성이 크고 그다음에 경기둔화 우려가 EU나 미국도 다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고요. 그다음에 너무 많이 오른 종목들이 있죠. 시장에서 과열 조정 기대감도 존재하고 있고요. 특히 이차전지, 바이오, 고평가 기술주, 특정 업종의 실적 불확실성도 존재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이 향후 시장 하락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고. 그래서 공매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죠.
◆ 앵커 : 단기에 너무 오르다 보니까 그런 목소리가 나오는 것 같기는 한데. 여전히 방향성 자체는 좋은 방향성으로 가고 있기는 하고요. JP모건 같은 경우 코스피가 5000까지 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놓기도 했고요.
대담 발췌 : 정의진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서은숙 교수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 이번에는 국내 시장 상황을 볼게요. 최근에 국내 시장 분위기는 굉장히 좋습니다. 3100선을 넘어서고 분위기는 좋은데 이런 상황에서 공매도 잔액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고 해요. 이건 어떤 의미로 봐야 될까요?
◇ 서은숙 : 공매도가 뭔지 봐야 되는데요. 공매도는 투자자가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단 주식을 빌려서 매도를 먼저 하고요. 그다음에 이후에 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주식을 다시 사서 갚는 투자기법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이러한 전략을 쓰는 이유는 주가하락을 예상하기 때문이거든요. 주가하락시에 수익을 내기 위한 거래방식이죠. 그래서 다시 얘기하면 코스피 시장의 공매도 잔고가 9조 원을 돌파했다고 하는 것은 시장의 하락 기대감이 크다고 예측할 수 있죠. 원인은 금방 얘기한 것처럼 우리나라 코스피 시장이 굉장히 좋아지고 있긴 한데 글로벌 시장도 굉장히 불확실성이 크고 그다음에 경기둔화 우려가 EU나 미국도 다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고요. 그다음에 너무 많이 오른 종목들이 있죠. 시장에서 과열 조정 기대감도 존재하고 있고요. 특히 이차전지, 바이오, 고평가 기술주, 특정 업종의 실적 불확실성도 존재를 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이 향후 시장 하락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고. 그래서 공매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죠.
◆ 앵커 : 단기에 너무 오르다 보니까 그런 목소리가 나오는 것 같기는 한데. 여전히 방향성 자체는 좋은 방향성으로 가고 있기는 하고요. JP모건 같은 경우 코스피가 5000까지 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놓기도 했고요.
대담 발췌 : 정의진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