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여름철 불청객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가 수도권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는 가운데,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10일 미국흰불나방 발생 예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했습니다.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도심 가로수·조경수의 잎을 갉아 먹는 해충입니다.
연간 2∼3차례 발생하며, 대량 발생 시 주민 생활에 불편을 끼치고 도시 경관을 훼손합니다.
1958년 북미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전국 32개 고정 조사구의 활엽수 1,600그루에서 수집한 미국흰불나방 1세대(알에서 태어나 유충,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이 된 후 다시 알을 낳기까지의 한 생애 주기 전체) 유충 피해율은 모니터링 결과 15.8%로 나타났습니다.
2세대 유충 피해율은 26.9%로 예측됐습니다.
이는 2000년대 8.9%, 2010년대 6.7%보다 높아 피해가 점차 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원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세대 수 증가로 추정됩니다.
특히 봄과 가을철 기온 상승으로 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3세대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림병해충연구과 김민중 연구사는 "여름(8월)과 가을철(10월) 유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2세대 유충 발생 초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집중 예찰과 방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이유나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도심 가로수·조경수의 잎을 갉아 먹는 해충입니다.
연간 2∼3차례 발생하며, 대량 발생 시 주민 생활에 불편을 끼치고 도시 경관을 훼손합니다.
1958년 북미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전국 32개 고정 조사구의 활엽수 1,600그루에서 수집한 미국흰불나방 1세대(알에서 태어나 유충,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이 된 후 다시 알을 낳기까지의 한 생애 주기 전체) 유충 피해율은 모니터링 결과 15.8%로 나타났습니다.
2세대 유충 피해율은 26.9%로 예측됐습니다.
이는 2000년대 8.9%, 2010년대 6.7%보다 높아 피해가 점차 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원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세대 수 증가로 추정됩니다.
특히 봄과 가을철 기온 상승으로 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3세대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림병해충연구과 김민중 연구사는 "여름(8월)과 가을철(10월) 유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2세대 유충 발생 초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집중 예찰과 방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이유나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