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북한이 청진항에서 진수에 실패한 5,000t급 신형 구축함을 복구하기 위해 풍선을 이용한 부양 시도에 나선 정황이 위성사진을 통해 포착됐습니다.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데커 에벨레스 연구원은 26일(현지시간) X(옛 트위터)에 공개한 위성 사진에서, 파란 방수포로 덮인 군함 위로 다수의 풍선이 떠 있는 모습과 그림자가 식별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마치 2009년 개봉한 픽사 애니메이션 업(Up)에서처럼 풍선으로 구축함을 들어 올리려는 시도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사진에는 풍선 외에도 크레인을 장착한 바지선이 군함 주변에 정박해 있는 모습도 함께 포착됐습니다.
이에 따라 풍선은 군함 인양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군 관계자는 “풍선만으로 5,000t급 군함을 띄우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크레인 등의 장비와 병행해 활용하는 보조 수단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이 지난해 한국에 보낸 오물풍선은 지름 1m 안팎이지만, 이번 사례에선 초대형 풍선이 동원됐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풍선을 이용한 군함 부양 시도는 군사·해양 작전에서 극히 이례적인 방식으로, 북한의 의도와 기술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비정상적 사례로 주목되고 있습니다.
제작 | 이 선
사진출처ㅣX@dex_eve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데커 에벨레스 연구원은 26일(현지시간) X(옛 트위터)에 공개한 위성 사진에서, 파란 방수포로 덮인 군함 위로 다수의 풍선이 떠 있는 모습과 그림자가 식별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마치 2009년 개봉한 픽사 애니메이션 업(Up)에서처럼 풍선으로 구축함을 들어 올리려는 시도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사진에는 풍선 외에도 크레인을 장착한 바지선이 군함 주변에 정박해 있는 모습도 함께 포착됐습니다.
이에 따라 풍선은 군함 인양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군 관계자는 “풍선만으로 5,000t급 군함을 띄우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크레인 등의 장비와 병행해 활용하는 보조 수단일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북한이 지난해 한국에 보낸 오물풍선은 지름 1m 안팎이지만, 이번 사례에선 초대형 풍선이 동원됐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풍선을 이용한 군함 부양 시도는 군사·해양 작전에서 극히 이례적인 방식으로, 북한의 의도와 기술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비정상적 사례로 주목되고 있습니다.
제작 | 이 선
사진출처ㅣX@dex_eve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