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내 보건당국이 말레이시아·인도·방글라데시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고위험 전염병 ‘니파 바이러스 감염증’을 제1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하기로 했습니다.
2020년 코로나19 이후 약 5년 만에 새롭게 1급 감염병으로 지정되는 사례입니다.
질병관리청은 19일 감염병관리위원회 심의를 통해 해당 안건이 통과됐다고 밝혔으며,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이르면 오는 7월부터 법정 감염병으로 공식 지정될 예정입니다.
니파 바이러스는 박쥐에서 유래해 돼지 등을 매개로 사람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감염 시 고열과 두통, 이후 혼란·발작·뇌염 등 중증 신경계 증상으로 진행되며, 심할 경우 48시간 내 혼수상태에 이를 수 있습니다.
치사율은 최대 75%에 달하며, 아직까지 백신이나 확실한 치료제는 없습니다.
1998년 말레이시아 니파 지역에서 처음 발생한 이 바이러스는 이후 방글라데시와 인도 등지에서 산발적으로 유행해 지금까지 22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감염은 주로 박쥐의 침과 배설물에 오염된 과일이나 수액을 섭취할 경우 발생하며, 숲 파괴 등으로 박쥐 서식지가 농장 인근으로 옮겨가며 전파 위험이 커졌습니다.
질병청은 현재까지 국내 발생 사례는 없지만, 기후 변화와 국제 이동 증가 등을 감안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검역 강화와 조기 진단 체계 구축, 위험 지역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동남아시아 등 방문 후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020년 코로나19 이후 약 5년 만에 새롭게 1급 감염병으로 지정되는 사례입니다.
질병관리청은 19일 감염병관리위원회 심의를 통해 해당 안건이 통과됐다고 밝혔으며,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이르면 오는 7월부터 법정 감염병으로 공식 지정될 예정입니다.
니파 바이러스는 박쥐에서 유래해 돼지 등을 매개로 사람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감염 시 고열과 두통, 이후 혼란·발작·뇌염 등 중증 신경계 증상으로 진행되며, 심할 경우 48시간 내 혼수상태에 이를 수 있습니다.
치사율은 최대 75%에 달하며, 아직까지 백신이나 확실한 치료제는 없습니다.
1998년 말레이시아 니파 지역에서 처음 발생한 이 바이러스는 이후 방글라데시와 인도 등지에서 산발적으로 유행해 지금까지 22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감염은 주로 박쥐의 침과 배설물에 오염된 과일이나 수액을 섭취할 경우 발생하며, 숲 파괴 등으로 박쥐 서식지가 농장 인근으로 옮겨가며 전파 위험이 커졌습니다.
질병청은 현재까지 국내 발생 사례는 없지만, 기후 변화와 국제 이동 증가 등을 감안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검역 강화와 조기 진단 체계 구축, 위험 지역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동남아시아 등 방문 후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