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구더기 때문에 심각한 위협"...멕시코 '발끈' [지금이뉴스]

美 "구더기 때문에 심각한 위협"...멕시코 '발끈' [지금이뉴스]

2025.05.13. 오전 11:0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미국과 멕시코가 관세 부과, 불법 이민, 카르텔 상대 무기류 밀매, 강물 공급 약속 불이행 등으로 갈등을 빚은 데 이어 이번엔 인간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구더기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멕시코 정부는 '기생파리' 애벌레(New World Screwworm·NWS) 차단을 이유로 멕시코산 살아 있는 소·들소·말 수입을 일시 중단한 미국에 대해 "불공정한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습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나사벌레'라고도 불리는 이 구더기가 일부 지역에서 발견됐다면서 "박멸 조처를 하고 있으며, 미국의 판단은 매우 부당하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농무부는 전날 홈페이지 보도자료를 통해 NWS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남부 국경에서의 가축 수입을 막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브룩 롤린스 미 농무부 장관은 "NWS 북상은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이 위험한 해충은 식량 공급과 국가 안보 차원에서 심각한 위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 농무부 산하 동식물 검역소(APHIS)는 NWS는 과거 미국 남부와 멕시코, 중미와 카리브해 섬나라, 남미 아르헨티나 지역에까지 출몰하며 동물들에 치명적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생파리가 가축이나 반려동물, 야생동물, 조류, 또는 사람의 상처에 달라붙어 그 위에 알을 낳으면, 부화한 구더기가 살 속으로 파고들어 치명적 피해를 줍니다.

과거 미국 정부는 멕시코 등과 협력해 1950∼1960년대부터 불임 처리한 수컷 기생파리를 방생하는 방법(SIT)으로 1980년대에 공식적으로 이 해충의 박멸을 공표했습니다.

하지만 2016년 플로리다 등 미국 본토에서 국지적 발견이 이어졌고, 최근엔 파나마를 거쳐 중미를 지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NWS에 멕시코 남부 치아파스 노인이 영향을 받은 사례가 확인됐습니다.

이번 갈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 과정에 인접국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불거졌습니다.

AFP 통신은 멕시코에서 NWS 처리에 필요한 미국산 품목에 수입 관세를 매기면서 박멸 작업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는 미국 측 불만도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기자ㅣ이승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