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인들의 3년 뒤 물가상승률 전망치가 거의 3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하고, 고용시장 전망도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내놓은 4월 월례 설문조사 결과 3년 후 물가상승률 기대치 중간값은 3.2%로, 2022년 7월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일자리에 대한 기대치도 많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석 달 안에 일자리를 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은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1년 뒤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은 코로나 팬데믹 초기이던 2020년 4월 이후 가장 높았고 물가와 고용 시장에 대한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미래 가계 상황에 대한 인식도 악화됐습니다.
미 가구 3분의 1 이상이 지금보다 1년 뒤 가계 재정이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2022년 이후 가장 높은 비율입니다.
지금 가계 상황이 1년 전보다 나쁘다고 답한 비율도 3분의 1 이상입니다.
향후 3개월 동안 최소한의 부채상환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 비율도 올라갔습니다.
가계 소득 예상 증가율은 2021년 4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소비자들은 또 내년에 연료비와 대학 등록금, 의료비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고, 주택 임대료 상승 폭도 지금보다 1.8%포인트 높은 9%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기자 : 김잔디
제작 : 윤현경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뉴욕 연방준비은행이 내놓은 4월 월례 설문조사 결과 3년 후 물가상승률 기대치 중간값은 3.2%로, 2022년 7월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일자리에 대한 기대치도 많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나 석 달 안에 일자리를 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은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1년 뒤 실업률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은 코로나 팬데믹 초기이던 2020년 4월 이후 가장 높았고 물가와 고용 시장에 대한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미래 가계 상황에 대한 인식도 악화됐습니다.
미 가구 3분의 1 이상이 지금보다 1년 뒤 가계 재정이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2022년 이후 가장 높은 비율입니다.
지금 가계 상황이 1년 전보다 나쁘다고 답한 비율도 3분의 1 이상입니다.
향후 3개월 동안 최소한의 부채상환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 비율도 올라갔습니다.
가계 소득 예상 증가율은 2021년 4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소비자들은 또 내년에 연료비와 대학 등록금, 의료비 지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고, 주택 임대료 상승 폭도 지금보다 1.8%포인트 높은 9%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기자 : 김잔디
제작 : 윤현경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