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마이크 왈츠 국가안보보좌관을 경질한 건 이란에 대한 무력 사용을 놓고 정책적 충돌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2월 백악관을 방문한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습을 주장했고, 왈츠도 여기에 동조하는 것처럼 보여 트럼프 대통령이 화가 났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왈츠가 정상회담 전에 네타냐후와 미리 만나 이란에 대한 군사적 옵션을 조율했고, 이 사실을 보고 받은 트럼프 대통령은 마음에 들지 않아 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일부 인사는 왈츠가 미국의 정책을 이란을 겨냥한 군사적 대응으로 기울게 하려는 과정에서 이스라엘과 결탁했다고 여겼다고 워싱턴포스트는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J.D 밴스 부통령이 그린란드 방문 때 왈츠를 데려가는 등 안보보좌관 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노력했지만 소용이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또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등 다른 백악관 고위 참모들은 왈츠가 트럼프 대통령과 궁합이 맞지 않는다고 여기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왈츠는 트럼프가 푸틴을 상대할 때도 더 강경한 대응을 주문했지만 트럼프는 러시아와 이란에 더 유화적으로 접근했고, 결국 두 나라와 협상에 왈츠가 아닌 위트코프 특사를 파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기자ㅣ권준기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워싱턴포스트는 지난 2월 백악관을 방문한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습을 주장했고, 왈츠도 여기에 동조하는 것처럼 보여 트럼프 대통령이 화가 났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왈츠가 정상회담 전에 네타냐후와 미리 만나 이란에 대한 군사적 옵션을 조율했고, 이 사실을 보고 받은 트럼프 대통령은 마음에 들지 않아 했다고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일부 인사는 왈츠가 미국의 정책을 이란을 겨냥한 군사적 대응으로 기울게 하려는 과정에서 이스라엘과 결탁했다고 여겼다고 워싱턴포스트는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J.D 밴스 부통령이 그린란드 방문 때 왈츠를 데려가는 등 안보보좌관 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노력했지만 소용이 없었다고 전했습니다.
또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등 다른 백악관 고위 참모들은 왈츠가 트럼프 대통령과 궁합이 맞지 않는다고 여기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왈츠는 트럼프가 푸틴을 상대할 때도 더 강경한 대응을 주문했지만 트럼프는 러시아와 이란에 더 유화적으로 접근했고, 결국 두 나라와 협상에 왈츠가 아닌 위트코프 특사를 파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기자ㅣ권준기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