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전기차 시장 주도권을 놓고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에게 도전장을 던진 가운데 K-배터리가 미국 완성차 업체들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2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신차를 공개한 미국 유망 전기차 스타트업 `슬레이트`(Slate)는 베이조스가 프리미엄 전략을 앞세운 리비안에 이어 두 번째로 투자한 전기차 기업입니다.
슬레이트의 신차는 합리적인 가격과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내세워 보다 폭넓은 소비층을 겨냥한 것이 특징입니다.
사명이 테슬라(Tesla)의 철자를 재배열한 `애너그램`이라는 해석이 나올 정도로 현지에서는 슬레이트가 테슬라를 겨냥한 `베이조스의 승부수`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슬레이트의 신차에는 SK온의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가 탑재되는데, 공급 계약 규모는 약 4조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업계에서는 슬레이트가 미국 현지 생산 역량과 테슬라 공급망 등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배터리 공급사를 선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SK온은 2019년부터 미국에 선제적 투자를 단행하며 배터리 생산 체계 구축에 나섰고, 현재 가동 중인 조지아주 자체 공장을 비롯해 포드, 현대차그룹 등과 합작 공장도 건설 중입니다.
미국 내에서 배터리를 양산 중인 비(非)중국계 업체 가운데 테슬라에 배터리를 공급하지 않는 곳은 SK온이 사실상 유일합니다.
베이조스가 K-배터리와 협력한 것은 SK온이 처음은 아닙니다.
앞서 투자한 리비안의 첫 전기 픽업트럭 R1T에는 삼성SDI 배터리가,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R1S에는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각각 탑재됐습니다.
이번 슬레이트 픽업트럭에 SK온 배터리를 탑재하기로 하며 베이조스는 한국 배터리 3사 모두와 손잡게 됐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는 전기차 시장의 주도권을 노리는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배터리 없이 핵심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라며 "K-배터리의 기술력이 글로벌 전기차 산업에서 필수적이라는 점을 방증한다"고 말했습니다.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X@slateauto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 2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신차를 공개한 미국 유망 전기차 스타트업 `슬레이트`(Slate)는 베이조스가 프리미엄 전략을 앞세운 리비안에 이어 두 번째로 투자한 전기차 기업입니다.
슬레이트의 신차는 합리적인 가격과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내세워 보다 폭넓은 소비층을 겨냥한 것이 특징입니다.
사명이 테슬라(Tesla)의 철자를 재배열한 `애너그램`이라는 해석이 나올 정도로 현지에서는 슬레이트가 테슬라를 겨냥한 `베이조스의 승부수`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슬레이트의 신차에는 SK온의 하이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가 탑재되는데, 공급 계약 규모는 약 4조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업계에서는 슬레이트가 미국 현지 생산 역량과 테슬라 공급망 등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배터리 공급사를 선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SK온은 2019년부터 미국에 선제적 투자를 단행하며 배터리 생산 체계 구축에 나섰고, 현재 가동 중인 조지아주 자체 공장을 비롯해 포드, 현대차그룹 등과 합작 공장도 건설 중입니다.
미국 내에서 배터리를 양산 중인 비(非)중국계 업체 가운데 테슬라에 배터리를 공급하지 않는 곳은 SK온이 사실상 유일합니다.
베이조스가 K-배터리와 협력한 것은 SK온이 처음은 아닙니다.
앞서 투자한 리비안의 첫 전기 픽업트럭 R1T에는 삼성SDI 배터리가,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R1S에는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각각 탑재됐습니다.
이번 슬레이트 픽업트럭에 SK온 배터리를 탑재하기로 하며 베이조스는 한국 배터리 3사 모두와 손잡게 됐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이는 전기차 시장의 주도권을 노리는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배터리 없이 핵심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현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라며 "K-배터리의 기술력이 글로벌 전기차 산업에서 필수적이라는 점을 방증한다"고 말했습니다.
AI 앵커ㅣY-GO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X@slateauto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