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일본 중학교에서 내년도부터 쓰일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사회과 교과서의 '처리 마친 오염수'라는 표현이 '오염수를 처리한 물'로 변경됐습니다.
23일 산케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한 출판사는 검정을 신청한 사회과 교과서에서 "폐로(원전 폐기) 작업을 하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완료는 2050년쯤으로 계획한다. 안쪽에 처리 마친 오염수 저장 탱크"라고 서술했습니다.
그중 '처리 마친 오염수'라는 표현에 대해 검정 과정에서 "처리가 완료됐다는 것인지, 아직 오염돼 있는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시됐고, 이에 해당 출판사는 해당 표현을 '오염수를 처리한 물'로 교체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한 물을 '처리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ALPS를 거치면 많은 방사성 물질이 제거되지만 삼중수소(트리튬)는 남고 일부 핵종도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저장 탱크에는 ALPS 처리수 외에도 처리 과정을 다 마치지 않아 방사성 물질이 안전 기준치보다 많은 '처리도상수'(處理途上水)도 보관돼 있습니다.
도쿄전력이 만든 '처리수 포털사이트'에 따르면 저장 탱크에 있는 물 132만 6,000t(톤) 중 약 70%는 처리도상수, 약 30%는 ALPS 처리수입니다.
한편, 도쿄신문은 영토에 관한 지도를 요구하는 일본 정부 학습지도요령에 따라 전날 검정에 합격한 중학교 교과서에 독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북방영토(러시아 쿠릴열도 남단 4개 섬의 일본식 표현)에 대한 설명이 실렸다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이번 검정을 통과한 사회과 교과서 18종 가운데 15종은 한국이 독도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고 기술했습니다.
기자ㅣ이유나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23일 산케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한 출판사는 검정을 신청한 사회과 교과서에서 "폐로(원전 폐기) 작업을 하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완료는 2050년쯤으로 계획한다. 안쪽에 처리 마친 오염수 저장 탱크"라고 서술했습니다.
그중 '처리 마친 오염수'라는 표현에 대해 검정 과정에서 "처리가 완료됐다는 것인지, 아직 오염돼 있는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시됐고, 이에 해당 출판사는 해당 표현을 '오염수를 처리한 물'로 교체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발생하는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처리한 물을 '처리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ALPS를 거치면 많은 방사성 물질이 제거되지만 삼중수소(트리튬)는 남고 일부 핵종도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저장 탱크에는 ALPS 처리수 외에도 처리 과정을 다 마치지 않아 방사성 물질이 안전 기준치보다 많은 '처리도상수'(處理途上水)도 보관돼 있습니다.
도쿄전력이 만든 '처리수 포털사이트'에 따르면 저장 탱크에 있는 물 132만 6,000t(톤) 중 약 70%는 처리도상수, 약 30%는 ALPS 처리수입니다.
한편, 도쿄신문은 영토에 관한 지도를 요구하는 일본 정부 학습지도요령에 따라 전날 검정에 합격한 중학교 교과서에 독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북방영토(러시아 쿠릴열도 남단 4개 섬의 일본식 표현)에 대한 설명이 실렸다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이번 검정을 통과한 사회과 교과서 18종 가운데 15종은 한국이 독도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고 기술했습니다.
기자ㅣ이유나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