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국내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70만 명,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배 이상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코로나19 유행이 기승을 부릴 때 을씨년스럽기까지 했던 서울 명동에도 다시 활기가 돕니다.
특히, 명동 하면 연상되는 노점 음식은 종류도, 양도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가격표를 보면, 선뜻 지갑을 열기가 어려워집니다.
붕어빵 4개와 만두 3개를 사고 낸 돈이 만 원입니다. 아무리 물가가 올랐다고 해도 다소 비싸게 느껴집니다.
저렴해도 맛좋은 길거리 음식을 기대한 관광객들도 푸념을 늘어놓습니다.
[클라라 / 프랑스인 : 명동 길거리 음식은 비싼 것 같아요. 경기 부천이나 다른 곳에선 똑같은 걸 더 저렴하게 살 수 있어요.]
상인들은 원자잿값 등이 가파르게 올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명동 노점상 : 일단 이거 재료가 비싸서…. 전기, 가스 (비용도 들고) 재료가 다 좋은 거에요.]
그러나 서울 관광의 중심지인 명동의 높은 물가는 이른바 '바가지 논란'을 불러서, 이제 막 살아나기 시작한 관광 수요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습니다.
[정강환 / 배재대 관광경영학과 교수 : 바가지 요금이나 이런 부분으로 일시적인 이미지를 흐릴 때는 지속적 성장이 쉽지 않다. 가격이나 이런 부분에서도 이미지가 나빠지지 않도록….]
이런 가운데 서울 중구청은 노점상들이 받는 가격을 법적으로 강제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관광 산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합리적인 판매가를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윤웅성입니다.
촬영기자 : 심원보
그래픽 : 지경윤
자막뉴스 : 최지혜
#YTN자막뉴스 #명동 #여행 #노점 #바가지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자막뉴스
기사목록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