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총리는 2002년 북일 정상회담 이후 일본인 피해자의 귀국이 실현되지 않아 정부로서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김정은 위원장과 조건 없이 만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습니다.
[기시다 후미오 / 일본 총리 : 저는 조건을 달지 않고 언제라도 김정은 위원장과 직접 마주할 결심을 하고 있고 전력을 다해 행동하고 있습니다.]
이어 일본과 북한이 현안을 해결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겠다는 관점에서,
자신의 결의를 모든 기회를 통해 김정은 위원장에게 전달하겠다며 정상회담을 위한 고위급 협의를 제안했습니다.
[기시다 후미오 / 일본 총리 : 북일 정상회담을 조기에 실현하기 위해 고위급에서 협의를 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에 한미일 공조를 강조하면서도 납북자 문제에서는 북한에 유화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1970~1980년대 일본인 17명이 북한에 납치됐고 2002년 9월 고이즈미 당시 총리의 방북 이후 5명이 돌아왔지만 아직 12명이 남아있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북한은 12명 중 8명은 사망했고, 4명은 아예 북한에 오지 않았다며 해결할 납치 문제 자체가 없다고 맞서고 있습니다.
여기에 최근 한미일의 대북 압박 공조에 속도를 내는 데 대한 북한의 반발이 더욱 거세지고 있어,
일본이 원하는 북한의 반응을 기대하기는 당분간 쉽지 않아 보입니다.
도쿄에서 YTN 김세호입니다.
영상편집 : 이영훈
자막뉴스 : 이미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자막뉴스
기사목록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