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처음엔 안 믿었어요"...서울로 번졌다

[자막뉴스] "처음엔 안 믿었어요"...서울로 번졌다

2023.01.21. 오전 11:1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서울 도봉고등학교는 올해 신입생을 받지 않았습니다.

내년 폐교를 앞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입학한 45명도 모두 인근에 있는 다른 고등학교로 전학 가면서 이제 학교엔 올봄 3학년이 되는 60여 명만 남게 됐습니다.

[함다현 / 도봉고 학생 : 지금 한 64명? 중간에 방학 때 전학 간 친구들이 많아서….]

서울 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가운데 문을 닫는 건 도봉고가 처음입니다.

한때 신입생이 200명을 훌쩍 넘겼던 학교가 사라진다는 소식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적잖은 충격이었습니다.

[김용주 / 도봉고 학생 : 제가 다니던 모교가 없어진다는 생각에 많이 슬펐고요.]

[한승지 / 도봉고 학생 : 왜 하필이면 내가 다니는 학교가 폐교가 되는 걸까 이런 생각이 들어서.]

[김미경 / 도봉고 학부모 : 처음엔 안 믿었죠.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가뜩이나 원하지도 않게 들어갔는데 무슨 폐교냐. 안 믿었어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폐교는 과거 농어촌에서 주로 발생했지만, 최근엔 서울 지역으로도 확산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8년부터 지금까지 서울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3곳이 문을 닫았습니다.

올해로 개교 40주년을 맞은 이곳 서울 화양초등학교는 얼마 전 마지막 졸업생을 배출했습니다.

화양동 일대가 1인 가구가 밀집한 지역으로 바뀌며 전교생이 80여 명으로 줄자 인근 다른 학교로 통폐합이 결정된 겁니다.

인근 주민들은 몇 년 전부터 어린이들을 보기 어려워졌다며, 저출생을 실감한다고 말합니다.

[이정화 / 화양초 인근 분식집 사장 : 줄었죠. 줄었어요. 확실히 줄었고, 지나가다 인사도 하고 애들이 그래도 단골이라고. 너무 귀엽잖아 애들이. 근데 없어진다니까 너무 섭섭하고….]

문제는 이 같은 '도심 속 빈 교실' 추세가 앞으로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될 거란 겁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올해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2016년생은 40만6천 명 정도.

하지만 네 살 어린 2020년생은 27만2천 명으로, 3분의 2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에 따라 서울시교육청은 같은 지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또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통합 운영하는 '이음 학교' 등 대안을 내놓고 있지만,

다니던 학교를 지키고 싶은 학생과 학부모의 반대에 부딪히거나 교원 수를 줄이는 문제 탓에 학교의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경우도 다반사입니다.

지난 2018년 합계출산율이 1 아래로 떨어진 뒤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

숫자로만 봐온 저출생을 학교 현장에서 피부로도 느낄 수 있는 시대가 찾아왔습니다.

YTN 박정현입니다.




촬영기자 : 이근혁
그래픽 : 지경윤
자막뉴스 : 박해진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