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자막뉴스] 13년 만에 찾아온 공포...커지는 '비명'

실시간 주요뉴스

스위스 인터라켄에서 10년째 한인 민박을 운영하는 김도연 씨는 최근 업종을 바꿔야 할지 깊은 고민에 빠졌습니다.

코로나19가 잠잠해지나 했더니, 이제는 환율이 너무 올라 여름철 성수기를 앞두고도 여행객들 예약이 뚝 끊겼기 때문입니다.

[김도연 / 스위스 한인 민박 운영 교민 : 코로나19 방역 규제가 풀려서 여행객들이 올 거라고 기대했는데, 전쟁이 나서 기름값도 오르고 환율도 오르고…. ]

현지 물가도 가파르게 오르는데, 환율까지 치솟은 지금과 같은 상황이 길어지면, 앞으로 얼마나 영업을 더 할 수 있을지 눈앞이 캄캄합니다.

[김도연 / 스위스 한인 민박 운영 교민 : 이렇게 어려움이 계속되다 보면, 더는 버틸 수가 없어서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까지 올 수 있겠죠.]

중국 상해에서 9년째 유학 중인 박민우 씨도 당장 생활비가 쪼그라들었습니다.

외식 값을 줄이기 위해 장을 봐서 직접 요리를 해먹는 날이 늘었습니다.

[박민우 / 중국 유학생 : 유학생이다 보니 부모님께 용돈 받아서 생활하는데 환율이 오르다 보니 쓸 수 있는 돈이 줄어서 아쉬워요.]

다른 유학생들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김예인 / 미국 유학생 : 사실 환율이 1,300원까지 올라갈 줄은 정말 몰랐고요. (용돈으로) 백만 원을 받으면 900달러 선이었던 게 700달러 선으로 내려가서…. 집을 좀 더 저렴한 곳으로 옮겼어요.]

학부모들의 학비 부담도 커졌습니다.

미국 4년제 대학교의 1년 평균 학비가 5천만 원 수준인데, 내야 할 돈이 5백만 원 넘게 늘었습니다.

환율이 떨어지길 기다리며 '쪼개기 납부'를 택하는 것 말고는 달리 방법이 없습니다.

[이동욱 / 바른유학원 유학 수속팀 팀장 : 최근에는 학비를 나눠 내는 분들도 많아졌고, 해외 송금이 아닌 신용카드 할부 등 카드 결제 방식으로 학비 납부가 가능한지 물어보시는 분들도 많아졌습니다.]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환율은 1,300원을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당분간 이어질 거로 보이는 고물가·고환율 시대에 개개인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YTN 윤해리입니다.

촬영기자: 윤소정
자막뉴스 : 이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제 19회 항저우 아시안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