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어제 막을 내린 G20 정상회의 기간에는 북핵 6자회담 관련국 정상들과의 연쇄 정상회담이 열려 한반도 긴장 완화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 정상들이 한 목소리로 남북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번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가 마련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김용현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로부터 앞으로의 남북관계와 한반도 주변 정세 전망 들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질문1]
이번 G20 정상회의 기간에는 6자회담 관련국 정상이 모두 방한을 했고, 또 간 나오토 일본 총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명박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했는데, 일단 기존의 대북정책 기조에 큰 변화는 없었다고 봐야겠죠?
[질문2]
대북관계와 관련해 가장 관심을 끈 것이 역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인데, 후 주석은 지난 8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했을때 남북관계 개선을 주문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어떤 의미로 볼 수 있겠습니까?
[질문3]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북한은 한국의 우려에 대해 조치를 취할 것과 호전적인 행동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는데요.
북핵 6자회담의 재개보다는 남북관계 개선에 우선순위를 둔 것으로 봐도 되겠습니까?
[질문4]
오바마 대통령은 6자 회담 재개와 관련해 "북한이 준비가 됐다는 증거가 보인다면 다시 협상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는데요, "준비가 됐다는 증거"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질문5]
우리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천안함 사태에 대한 북한의 책임있는 태도를 요구하고 있지 않습니까?
북한은 아직은 이러한 요구에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는데요.
북한의 변화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6]
이달 초에는 1년 1개월여 만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금강산에서 열렸는데요, 북한은 그 이전과 이후에도 계속 금강산 관광 재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오는 19일 개성에서 금강산관광 회담을 열자고 제안하기도 했는데요.
북한이 금강산 관광에 집착하는 배경은 무엇입니까?
[질문7]
아직 장소 문제가 결정되지 않았습니다만 오는 25일에는 적십자 회담도 예정돼 있지 않습니까?
이산가족 정례화와 인도적 지원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두 문제에 대해서는 남북이 의견 접근을 볼 수 있을까요?
[질문8]
G20 이후 추가적인 인도지원이나 이산가족 정례화가 이뤄질 경우 남북관계가 좀 더 진전되지 않느냐 하는 기대도 나오고 있는데, 좀 더 획기적인 관계 진전을 위해 남북 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9]
오늘 외신에서 북한이 영변 지역에 소규모 경수로를 건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아직 공식 확인은 안됐지만, 실제로 그런 준비를 하고 있다면 어떤 의도가 있다고 보십니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어제 막을 내린 G20 정상회의 기간에는 북핵 6자회담 관련국 정상들과의 연쇄 정상회담이 열려 한반도 긴장 완화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 정상들이 한 목소리로 남북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번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남북관계 개선의 계기가 마련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습니다.
김용현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로부터 앞으로의 남북관계와 한반도 주변 정세 전망 들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질문1]
이번 G20 정상회의 기간에는 6자회담 관련국 정상이 모두 방한을 했고, 또 간 나오토 일본 총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이명박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했는데, 일단 기존의 대북정책 기조에 큰 변화는 없었다고 봐야겠죠?
[질문2]
대북관계와 관련해 가장 관심을 끈 것이 역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인데, 후 주석은 지난 8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했을때 남북관계 개선을 주문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어떤 의미로 볼 수 있겠습니까?
[질문3]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북한은 한국의 우려에 대해 조치를 취할 것과 호전적인 행동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는데요.
북핵 6자회담의 재개보다는 남북관계 개선에 우선순위를 둔 것으로 봐도 되겠습니까?
[질문4]
오바마 대통령은 6자 회담 재개와 관련해 "북한이 준비가 됐다는 증거가 보인다면 다시 협상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는데요, "준비가 됐다는 증거"는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질문5]
우리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천안함 사태에 대한 북한의 책임있는 태도를 요구하고 있지 않습니까?
북한은 아직은 이러한 요구에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는데요.
북한의 변화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6]
이달 초에는 1년 1개월여 만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금강산에서 열렸는데요, 북한은 그 이전과 이후에도 계속 금강산 관광 재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오는 19일 개성에서 금강산관광 회담을 열자고 제안하기도 했는데요.
북한이 금강산 관광에 집착하는 배경은 무엇입니까?
[질문7]
아직 장소 문제가 결정되지 않았습니다만 오는 25일에는 적십자 회담도 예정돼 있지 않습니까?
이산가족 정례화와 인도적 지원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두 문제에 대해서는 남북이 의견 접근을 볼 수 있을까요?
[질문8]
G20 이후 추가적인 인도지원이나 이산가족 정례화가 이뤄질 경우 남북관계가 좀 더 진전되지 않느냐 하는 기대도 나오고 있는데, 좀 더 획기적인 관계 진전을 위해 남북 정상회담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9]
오늘 외신에서 북한이 영변 지역에 소규모 경수로를 건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아직 공식 확인은 안됐지만, 실제로 그런 준비를 하고 있다면 어떤 의도가 있다고 보십니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