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정부는 오늘 천안함 사건에 대한 후속 조치로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경협과 교류협력 사업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북한에 대한 전면적인 경제 제재를 가한 것인데요.
그 효과는 어느 정도일지, 북한과 중국의 경제적인 역학관계는 어떻게 변할지 전문가와 함께 진단해 봅니다.
고일동 한국개발연구원 KDI 북한경제연구실장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질문1]
오늘 발표로 남북 경협이 크게 위축될 텐데요.
남북의 경제 협력 규모는 어느 정도 수준이었나요?
[질문2]
그렇다면 우리의 경제 제재로 북한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될까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간접적인 피해도 꽤 클텐데요?
[질문3]
이처럼 남북 경협이나 교류협력 사업이 중단되면 북한의 중국 의존도는 더 커질 수 밖에 없는데요?
[질문4]
중국의 정치적인 선택도 관심을 끄는데요.
마침 중국에서는 미중전략대화도 열리고 있지 않습니까?
중국의 선택에 따라 어떤 영향력의 변화가 있을까요?
[질문5]
북한 당국 역시 총력대응할 텐데요.
북한의 반응, 어떻게 예상할 수 있을까요?
[질문6]
마지막으로 대북제재 국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어떤 요인을 고려해야 할까요?
정책적인 시사점들 정리해주시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정부는 오늘 천안함 사건에 대한 후속 조치로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경협과 교류협력 사업을 전면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북한에 대한 전면적인 경제 제재를 가한 것인데요.
그 효과는 어느 정도일지, 북한과 중국의 경제적인 역학관계는 어떻게 변할지 전문가와 함께 진단해 봅니다.
고일동 한국개발연구원 KDI 북한경제연구실장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질문1]
오늘 발표로 남북 경협이 크게 위축될 텐데요.
남북의 경제 협력 규모는 어느 정도 수준이었나요?
[질문2]
그렇다면 우리의 경제 제재로 북한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될까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간접적인 피해도 꽤 클텐데요?
[질문3]
이처럼 남북 경협이나 교류협력 사업이 중단되면 북한의 중국 의존도는 더 커질 수 밖에 없는데요?
[질문4]
중국의 정치적인 선택도 관심을 끄는데요.
마침 중국에서는 미중전략대화도 열리고 있지 않습니까?
중국의 선택에 따라 어떤 영향력의 변화가 있을까요?
[질문5]
북한 당국 역시 총력대응할 텐데요.
북한의 반응, 어떻게 예상할 수 있을까요?
[질문6]
마지막으로 대북제재 국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어떤 요인을 고려해야 할까요?
정책적인 시사점들 정리해주시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