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준비 어떻게 해야하나? [고병수, 하나HSBC생명]

은퇴 준비 어떻게 해야하나? [고병수, 하나HSBC생명]

2010.02.18. 오후 3:3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은퇴 준비는 어떻게 해야하나?' 고민하시는 분들 많을 것입니다.

은퇴 준비를 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또 지금 나의 상황에서는 어떤 준비를 하는게 유리한지에 대해서 자세한 얘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 HSBC생명의 고병수 재무설계사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질문1]

먼저, 은퇴 준비라고 하면 막연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 통상적으로 흔히 할 수 있는 은퇴준비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답변1]

은퇴를 준비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자신이 처한 근무 환경이나 개인적인 자산 상황에 따라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는데요.

표적으로는 은행의 적금이나 예금을 통해서 돈을 모아두는 게 있을 수 있겠고요, 또 부동산을 통한 임대 수입을 얻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죠.

그러나 일반적으로 월급을 받아 생활하는 직장인들에게 가장 손쉬운 방법은 아마도 연금이아닐까 싶습니다.

[질문2]

아무래도 매니저님께서는 보험 전문가이시다 보니까 연금에 대해서 좀 여쭤봐야할 것 같은데요.

은퇴 이후를 위해 가입할 수 있는 연금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답변2]

은퇴 후의 생활을 고려할 때 필요한 연금을 분류하는 '은퇴의 3층 구조'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1층에는 국민연금이 있는데, 이것은 빵이나 밥처럼 주식으로 소비되는 필수적 요소입니다.

2층은 퇴직연금이나 기업연금인데, 은퇴 후 자장면처럼 부수적 간식으로 필요한 것들이죠.

마지막으로 3층에는 개인연금이고, 개인연금은 여행이나 간병, 취미활동 등을 위해서 쓰입니다.

[질문3]

연금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연금 저축과 연금 보험이 있는 걸로 아는데 먼저 연금 저축은 어떤 겁니까?

[답변3]

연금저축상품은 연간 300만원 한도에서 소득공제가 되어 높은 과표구간의 급여생활자의 경우에는 이점이 있지만, 추후 일정 기간동안 연금소득 발생 시 연금소득세를 5.5% 과세하게 됩니다.

[질문4]

그럼 이 연금 보험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까?

[답변4]

연금보험상품은 소득공제 혜택은 없지만 이자소득세가 비과세 되고 연금으로 수령 시 종신형으로 수령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서로 장단점이 있으므로 개인 별 소득수준 대비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가입하시면 됩니다.

또한 연금보험 상품은 공시이율상품과 변액상품이 있으므로 개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질문5]

연령대별로 지금 시작할 수 있는 은퇴 준비 연금 가운데 적당한 것들을 좀 설명해 줄 수 있을까요?

[답변5]

30대의 경우 왕성한 경제활동 속에서 다양한 종류의 투자형태를 띠어 퇴자산과 은퇴 전 자산의 구분없이 저축 또는 투자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 추천할 수 있는 상품은 개인연금 저축과 장기펀드 등이 적합할 것 같습니다.

40대의 경우에는 은퇴가 현실적으로 다가와 구체적으로 은퇴계획을 정하고 은퇴자산을 구분하여 저축을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은퇴자산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운영하게 되고 특히 퇴직금 등의 특정자산을 은퇴자산으로 설정하고 장기 투자계획을 세웁니다.

50대의 경우는 은퇴계획이 구체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극히 보수적이고 안정성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원금 보전형으로의 성격이 뚜렷한 안전한 포트폴리오를 선호하게 되므로 추천상품으로는 즉시연금 등이 적합할 것 같습니다.

[질문6]

혹시 은퇴가 임박한 분들 중에 그동안 자녀들을 키우느라고 또는 넉넉지 않은 월급 때문에 따로 준비를 못하신 분들이 있다면 퇴직금을 이용해서 할 수 있는 은퇴 준비도 있을까요?

[답변6]

퇴직금은 일시금의 형태로 지급받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목돈은 당장은 뿌듯할지 모르지만, 잘못 운용하시면 유일한 노후대책이 한 순간에 사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안정적인 소득발생이 가능한 연금상품을 이용하시는 것이 고령화시대를 대비한 현명한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보험사의 즉시연금상품이나 퇴직연금의 개인퇴직계좌(IRA)를 활용하시면 퇴직금을 일시로 납부하시고 종신연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 드리겠습니다. 은퇴는 소득이 끊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은퇴 이후 끊이지 않는 소득이 발생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 이것이 은퇴준비의 핵심이 아닐까 합니다.

[질문7]

연금상품이 비과세와 이자소득세에서 장점이 많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답변7]

연금의 비과세 제척기간은 1998년 3년이었지만 2000년 5년으로 늘어났고 2003년에는 7년, 2004년 이후에는 10년으로 늘어났습니다.

이자소득세 또한 15.4%로 다른 나라(영국 40%, 미국47%, 네덜란드 6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 언제 비과세 제척기간이 늘어나고 이자소득세가 상향될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조금이라도 빨리 적극적으로 비과세 상품을 활용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됩니다.

[질문8]

마지막으로, 은퇴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체계적인 노후준비의 노하우랄까, 조언을 좀 해주신다면 어떤 말씀을 해주시겠습니까?

[답변8]

일반적으로 알고 계시는 복리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힘을 가장 잘 이용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최대한 젊었을 때부터 연금상품 등을 이용해서 차근차근 노후를 준비하는 것도 아주 중요합니다.

이제 젊은 분들에게는 은퇴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금방 자신에게 다가올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또 한가지는, 보통 자산관리를 하실 때 주변의 추천이나 개인적인 선호도에 따라서 포트폴리오를 짜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체계적인 재무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와 재무상담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고객들의 직업이나 성별, 나이 등에 따라서 은퇴를 준비하는 방법들이 각각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시각을 통해 자신의 재무상황을 진단받고 은퇴를 계획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