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신피질 기능저하증 알아보기 [전재석, 내과전문의]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알아보기 [전재석, 내과전문의]

2010.02.01. 오전 07:3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매주 월요일 이시간 최신 건강정보 알아보고 있는데요.

오늘도 전재석 내과전문와 함께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부신 피질 기능저하군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일단 '부신'이라는 기관이 좀 생소한 느낌입니다.

어떤 기관인가요?

[답변]

좌우 콩팥 위에 위치하는 약 4g 정도 되는 호르몬 분비 기관인데요.

우리 몸에 중요하지 않은 호르몬이 없겠지만 외상, 수술, 감염 등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러한 스트레스를 극복해서 우리의 목숨을 유지하게 해주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이외에 혈압을 유지하게 해주는 호르몬도 분비되고 여성에서는 유일하게 남성호르몬이 분비되는 기관입니다.

[질문]

'스테로이드'라면 약물로 알고 있는데요?

우리 몸에서도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분비되는군요?

[답변]

여러 종류의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약물의 형태로 만들어져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원래는 우리 몸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이 호르몬의 분비량이 늘어나게 되어있고 부신도 커지게 됩니다.

[질문]

스테로이드는 주로 어떠한 경우에 쓰이게 되나요?

[답변]

약물로서 스테로이드는 정말 환상적인 약제입니다.

강력한 면역억제 효과가 있어서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 각종 자가면역질환에 쓰이고, 장기이식의 경우 거부반응을 억제하는데 없어서 안 되는 가장 중요한 약물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부작용을 갖고 있어서 꼭 필요한 경우에 적절하게 쓰여야 합니다.

[질문]

부신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경우도 생기겠군요?

[답변]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이라고 하는데요.

자가면역기전에 의한 부신의 염증이나, 요즘은 별로 없지만 결핵으로 부신이 파괴되는 경우, 뇌하수체의 문제로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이 분비되지 않는 경우 발생합니다.

하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장기간 사용할 때 발생합니다.

[질문]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데요?

[답변]

스테로이드는 강력한 소염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관절염 등 몸 안의 염증이나 통증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스테로이드를 무분별하게 장기간 투여하는 경우, 뇌하수체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중단하고 이에 따라 부신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분비를 중단하면서 장기간의 위축에 들어갑니다.

이를 의인성 쿠싱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질문]

이 경우 증상은 어떤가요?

[답변]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투여하게 되면 붉고, 달덩이 같은 둥근 얼굴, 얇고 멍이 쉽게 드는 피부, 복부 비만이 있으면서 사지는 가늘어지는 등 특징적인 소견을 보이게 됩니다.

이와 함께 이유 없는 피로감, 쇠약감, 식욕부진의 증상을 호소하는데 이보다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큰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사소한 감기와 같은 질환에서도 심하게 앓게 되고, 심한 감염, 외상, 수술 같은 더 큰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바로 보충해주지 않는 경우 목숨을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질문]

환자분들은 어떤 경우에 병원을 찾아야 하나요?

[답변]

몸 안의 염증이나 통증을 이유로 장기간 양약의 형태로나 한약의 형태로든 약물 투여를 받았던 환자분 중 피로감, 쇠약감, 식욕부진 등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옳습니다.

혈액검사로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 진단이 가능하지만, 환자의 얼굴만 보아도 바로 진단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답변]

의학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중단하는 것입니다.

대개 1, 2년 안에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분비 능력이 저절로 회복되고 신체의 특징적인 변화도 없어지게 됩니다.

환자분이 많이 힘들어 하시는 경우에는 소량의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면서 서서히 감량하고 끊게 됩니다.

하지만 의인성이 아니라 부신이나 뇌하수체 자체가 완전히 파괴된 경우 영구적인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경구 보충이 필요합니다.

전재석 내과전문와 함께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