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YTN 뉴스 엔 이슈, 뜨거운 이슈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진단하는 순서 이슈 엔 이슈입니다.
오늘 저녁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에 도착해서 내일 오전 중에 이명박 대통령과의 회담이 예정돼 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의 가장 중요한 의제가 북핵 문제가 될것이라는 전망인데요.
오늘 청와대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 모시고, 한미간에 어떤 논의가 이뤄질것인지,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1]
지난 6월 워싱턴에서 오바마 대통령과 회담에서 이미 우리 정부는 북핵 일괄타결 방안인 '그랜드 바겐'을 제안 했습니다.
이번에 구체적인 협의가 이뤄질까요?
[질문2]
미국은 핵 포기와 체제 안전, 경제지원을 한꺼번에 주고 받는 '포괄적 패키지' 원칙을 분명히 밝혔는데 부시 정부의 단계적 접근 방식과 상당히 다릅니다.
우리 정부의 그랜드 바겐과도 궤를 같이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어떻습니까?
[질문3]
미국은 비핵화를 위한 제재와 직접 대화 투 트랙 전략으로 가려는 의지가 분명한데요.
서해 교전이 있었지만, 방북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히지 않았습니까?
북미 대화, 북핵을 둘러싼 북미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까요?
[질문4]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위원장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내놓을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는데요.
북한이 우리 정부의 '그랜드 바겐'구상을 받아들일까요.
[질문5]
긍정적인 조치가 있을때까지 북한과 협상하지 않겠다는것인가?
기다림의 전략 그대로인가요?
남북 대화 당분간 힘들다고 봐야되는 것인가요?
[질문6]
북미 대화가 본격화되면 한미관계,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런 분위기에서 한국이 소외되고, 대북 지원 부담만 안게 되는것은 아닌지 우려의 시각이 있다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7]
이명박 정부와 오바마 정부의 임기가 끝나는 시점이 공교롭게도 북한으로서는 강성대국을 열겠다고 밝힌 시점과 같은 2012년입니다.
그래서 북미관계 변화를 예의주시할수 밖에 없는데...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에는 변함이 없나?
요즘 비밀접촉설로 시끄럽기도 했는데 남북 정상 회담을 할 계획은?
[질문8]
한미 FTA문제, 한미간의 시각차가 있는데요.
미국은 현재의 한미 FTA를 수정해야한다는 입장이죠?
우리정부는 자동차 분야에서 좀 더 개방을 원하고 있는데요.
시각차가 좁혀질까요?
[질문9]
체결하고 나서 벌써 2년이 지났습니다.
한미 FTA 비준 타이밍 언제쯤으로 생각하고 계시나?
[질문10]
사전에 실무선에서 어느정도 의제에 대한 조율도 있었을텐데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물이 문건 형태로 나올 수 있을까 기대됩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YTN 뉴스 엔 이슈, 뜨거운 이슈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진단하는 순서 이슈 엔 이슈입니다.
오늘 저녁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에 도착해서 내일 오전 중에 이명박 대통령과의 회담이 예정돼 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의 가장 중요한 의제가 북핵 문제가 될것이라는 전망인데요.
오늘 청와대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 모시고, 한미간에 어떤 논의가 이뤄질것인지,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1]
지난 6월 워싱턴에서 오바마 대통령과 회담에서 이미 우리 정부는 북핵 일괄타결 방안인 '그랜드 바겐'을 제안 했습니다.
이번에 구체적인 협의가 이뤄질까요?
[질문2]
미국은 핵 포기와 체제 안전, 경제지원을 한꺼번에 주고 받는 '포괄적 패키지' 원칙을 분명히 밝혔는데 부시 정부의 단계적 접근 방식과 상당히 다릅니다.
우리 정부의 그랜드 바겐과도 궤를 같이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어떻습니까?
[질문3]
미국은 비핵화를 위한 제재와 직접 대화 투 트랙 전략으로 가려는 의지가 분명한데요.
서해 교전이 있었지만, 방북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히지 않았습니까?
북미 대화, 북핵을 둘러싼 북미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까요?
[질문4]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위원장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내놓을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는데요.
북한이 우리 정부의 '그랜드 바겐'구상을 받아들일까요.
[질문5]
긍정적인 조치가 있을때까지 북한과 협상하지 않겠다는것인가?
기다림의 전략 그대로인가요?
남북 대화 당분간 힘들다고 봐야되는 것인가요?
[질문6]
북미 대화가 본격화되면 한미관계,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런 분위기에서 한국이 소외되고, 대북 지원 부담만 안게 되는것은 아닌지 우려의 시각이 있다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7]
이명박 정부와 오바마 정부의 임기가 끝나는 시점이 공교롭게도 북한으로서는 강성대국을 열겠다고 밝힌 시점과 같은 2012년입니다.
그래서 북미관계 변화를 예의주시할수 밖에 없는데...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에는 변함이 없나?
요즘 비밀접촉설로 시끄럽기도 했는데 남북 정상 회담을 할 계획은?
[질문8]
한미 FTA문제, 한미간의 시각차가 있는데요.
미국은 현재의 한미 FTA를 수정해야한다는 입장이죠?
우리정부는 자동차 분야에서 좀 더 개방을 원하고 있는데요.
시각차가 좁혀질까요?
[질문9]
체결하고 나서 벌써 2년이 지났습니다.
한미 FTA 비준 타이밍 언제쯤으로 생각하고 계시나?
[질문10]
사전에 실무선에서 어느정도 의제에 대한 조율도 있었을텐데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물이 문건 형태로 나올 수 있을까 기대됩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