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지출을 줄여라 [제윤경, 재무주치의]

고정지출을 줄여라 [제윤경, 재무주치의]

2009.07.28. 오전 10:19.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건강하고 행복한 재테크 방법을 알려드리는 '행복 재테크' 순서입니다.

재테크하면 막연히 쓰는 돈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줄이는 방법에도 지혜가 필요합니다.

재무주치의 제윤경 씨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오늘 주제가 '고정 지출을 줄여야 한다'인데 고정 지출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답변]

가정에서 이뤄지는 지출에는 고정 지출과 비정기 지출이 있다.

고정 지출이라 함은 매월 정기적으로 지출되는 것.

비정기 지출은 연중 특정 행사와 관련되어 말그대로 불규칙하게 지출되는 것.

[질문]

줄여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사실 줄이려는 것이 쉽지는 않을 텐데 가장 먼저 어떤 것을 점검해야 하는가?

[답변]

첫째, 의식을 바꿔야 한다.

무조건 허리띠를 줄이라는 것이 아님.

오히려 불필요한 고정 지출을 줄여 돈을 더 잘 쓰기 위한 것이라는 의식이 필요함.

둘째, 어느 특정 항목 하나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가계 소비구조에서 거품을 빼는 것이 중요.

소비가 선택적으로 이뤄져야 조금 더 행복한 소비가 가능함.

예를 들면 전기세 몇 만 원 줄이고 식비 몇 만 원, 외식비, 통신비, 문화생활비, 용돈, 교제비 등 전 항목에서 조금만 노력하면 줄일 수 있는 것이 있다.

무조건 안 쓰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긴장감과 체계적인 돈관리로 조금 노력함으로 전체적인 소비 지출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셋째, 그를 위해 전반적인 소비 지출 내역에 대한 기록부터 해야 하고 냉정한 평가를 해야 한다.

[질문]

생각보다 우리가 쓰는 고정 지출이 대단히 많은 것 같다.

고정 지출 외에도 비정기 지출도 있다고 하는데 그것까지 하면 정말 가정 경제에서 소비가 생각보다 규모가 클 수밖에 없는 것 같다.

고정 지출을 줄이면 막연히 좋기는 할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을까?

[답변]

첫째, 고정 지출이 줄면 돈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크게 줄어듬.

매월 현금흐름이 생각보다 일정하지 않다.

상여달과 인센티브달에 비해 평달의 소득이 적은 월급소득자 많음.

결국 고정 지출이 많으면 평달에 마이너스 현금흐름일 수밖에 없다.

당연히 심리적으로 돈에 대한 압박감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둘째, 맞벌이 중단이나 경기 후퇴 등으로 소득 감소시 고정 지출이 적으면 그만큼 가계 운용을 탄력적으로 할 수 있다.

고정지출이 크면 그만큼 가계 경제가 외부 환경 변화에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고정 지출을 평상시 군살없이 유지 하는 것이 중요함.

[질문]

그동안 상담한 사례를 보면 대표적으로 새나가는 고정지출이 어떤 것들이 있었나?

[답변]

가정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인 것 중 가장 많이 쉽게 간과하고 새나가도록 방치하는 돈이 주거관리비이다.

편리하다는 생각에 전기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그로 인해 전기세가 많이 나간다.

사실 전기세는 누진이다.

그만큼 관리하면 줄이기 쉬운 항목인데 관리 안 하면 적지 않은 돈이 새나간다.

예를 들면 같은 평형대 사는 두 가정인데 한 쪽은 관리를 해서 만 원대를 지출하는 한편 다른 가정은 관리가 안 되고 막연히 쓰니까 전기세만 10만 원이 넘더라.

매월 8만 원 이상 차이나는 것.

연간 90만 원 돈이다.

이 정도면 여행 자금을 조금 더 여유 있게 쓸 수 있는 돈이었다.

결국 약간의 노력으로 큰 돈을 아낄 수 있는 것.

그 외에도 장을 보는 방식에 따라 식비가 크게 달라지고 외식도 원칙없이 하게 되면 푼돈 지출만 늘어날뿐 외식 자체의 만족도 떨어진다.

통신비도 마찬가지이고 보험료도 마찬가지다.

전반적으로 한 번씩 현재 지출내용을 적어보면서 과연 적정 수준으로 지출하는지 평가받아야 한다.

[질문]

막연히 돈을 아껴야 한다고 하면 말 그대로 막연했는데 고정 지출로 구분을 하고 그 내용안에서 항목별로 보면 실제로 조절해서 줄일 수 있는 부분이 많을 것 같다.

[답변]

이런 식으로 고정지출을 줄이면 실제 내역 별로는 조금씩 줄이는데, 전체적으로 합산하면 굉장히 큰 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표를 보면 내역의 종류만 엄청나다.

여기서 만 원씩만 줄여도 결국 전반적으로 몇 십만 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한 번 정도 평가를 통해 긴장감을 가지고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