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사태 왜 일어났나? [이지경, 포항 건설노동조합 위원장]

포스코 사태 왜 일어났나? [이지경, 포항 건설노동조합 위원장]

2006.07.19. 오전 08: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멘트]

어제 정부는 노조가 자진해산하면 교섭을 주선할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포스코 본사 건물을 점거하고 있는 수백명의 건설 노조원들은 농성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점거' 라는 표현을 쓰고는 있지만 전기와 수도공급이 끊긴 현장은 사태의 책임논란을 떠나 쉽지 않은 상황일것입니다.

건설노조의 주장은 무엇인지 현재 어떤 상황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건설노조 이지경 위원장 전화로 연결해 봅니다.

[질문]

지금 건물안 어디 계신가요?

[답변]

건물안 10층에 있습니다.

[질문]

노조원들이 한 군데 모여 있는 건가요?

[답변]

아닙니다. 1층부터 12층까지 있습니다.

[질문]

전체적으로 몇명인지는 파악이 되고 있죠 얼마나 모여있습니까?

[답변]

지금 현재 2100명 정도 있습니다.

[질문]

어떤 상황인가요 단전, 단수, 유선전화 상황은 어떻습니까?

[답변]

단전은 어제부터 됐고, 단수는 되지 않았습니다.

유선전화는 들어오는 날부터 되지 않았습니다.

[질문]

노조원들이 몇분이나 있는지 다시 질문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000명여 정도 모여 있다가 지금은 수백명 정도만 남아있다고 들었는데,

이지경위원장님께서는 2100명이라고 말씀 해주셨는데 보도가 잘못 된 것 입니까?

아님 다른 분들이 시위현장으로 모여 든 것 입니까??

[답변]

보도가 잘 못 된 것 입니다. 원래 13일 3300명이 넘었습니다.

들어오는 날은 2500명정도 들어왔는데 환자, 지병 있는 분들 300~400명정도 빠져서 2100명입니다.

[질문]

가족들이 걱정이 많을텐데요, 만나보셨습니까?

[답변]

만나지 못했습니다.

[질문]

가족들을 통해서 음식 반입도 안되는 상황입니까?

[답변]

한 번 받았었는데 지금은 밑에서 막고 있습니다.

[질문]

노조원들이 식사를 전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까?

[답변]

라면, 초코파이등 비상식량으로 끼니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질문]

노조원 한분이 중태라고 하던데... 언제 그랬고 상처는 어느정도인가요?

[답변]

위독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14일 집회를 경찰이 진압과정에...

[질문]

15일 새벽 노조측의 화염 방사기와 뜨거운 물 대응이 지나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변]

화염 방사기는 사용하지 않았고 없습니다.

뜨거운 물은 계단으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커피물을 뿌렸습니다.

[질문]

뜨거운물 때문에 경찰이 3명정도 부상을 입었다고 하는데요?

[답변]

부상을 입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질문]

경찰은 건물 밖에 집결해 있는데 일단 자진 해산을 유도 하는 것이 기본 방침이라고 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강제 진압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강제진압이 된다면 지난번처럼 강하게 대응하실 생각입니까?

[답변]

네, 강경하게 대응하겠습니다.

계속적으로 강제진압을 시도하고 있지만, 진압되고 있지 않습니다.

[질문]

건설노조의 사용자 측은 건설협회로 돼 있는데 지금 노조는 포스코와의 협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왜 직접적인 사용자인 건설협회가 아닌 포스코와의 대화를 원하나요?

그리고 정확히 원하는게 무엇입니까?

[답변]

노동법상 직접적이 사용 당사자가 아니라 빠질 수는 있지만, 저희는 포스코를 위해서 포스코를 유지, 보수를 하고 있습니다.

직접 고용주가 아니라는 이유로 빠지는 것은 이해할 수 없습니다.

[질문]

하청업체 보다 실질적 고용주인 포스코와 협상을 하는 것이 근본적 해결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죠?

[답변]

해결에 도움을 준다기 보다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질문]

정부가 어제 점거 농성을 불법으로 규정하면서 먼저 자진해산하면 교섭을 주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대화를 통한 협상을 원한다면 농성을 풀고 대화에 나서는것이 나은것 아닌가요?

[답변]

정부는 건설 협회와의 대화를 유도하겠죠. 그게 법이니까요.

[질문]

정부측의 입장은 들어 보셨습니까?

[답변]

직접 듣지 않고 방송을 통해 봤습니다.

전문 건설 업체와 넉달동안 교섭해왔는데 또다시 정부의 주선으로 교섭을 한다해도 얻을것이 있겠는가 생각합니다.

전문 건설 업체와의 교섭은 정부가 나서지 않아도 가능합니다.

[질문]

단전등의 압박이 커지면 점거 농성은 쉽지 않을텐데 앞으로 어떻게 사태를 해결해 나갈 생각인가요?

[답변]

포스코가 직접 나서지 않는 한 물러서지 않을 것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