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발견이 어려워 생존율이 낮은 '난소암'을 소량의 혈액으로 진단하는 검사법이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김용범 교수 연구팀은 5ml의 혈액으로 난소 암세포를 검출하고, 난소 종양의 악성여부를 감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온코타깃(Oncotarget)’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카이스트 혈중암세포 연구단이 개발한 혈액 검출기기의 난소암 판별 효과를 확인한 결과, 민감도 100%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2015년부터 2016년 사이에 난소 종양을 진단받고 수술을 앞둔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했다. 이후 기존의 혈액검사, 감별 진단법, 영상검사과 혈중암세포 검사의 난소암 판정 민감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기존 혈액검사나 초음파 감별진단법은 민감도 16.7~50%, 영상검사는 민감도 83.3%의 정확도를 갖는 데 비해, 혈중암세포 검출은 특히 병기1의 조기난소암 진단에 있어 100%의 민감도를 보였다.
김용범 교수는 "민감도는 질환이 있는 사람을 질환자로 판별하는 지표로, 민감도 100%를 기록한 것은 진단하지 못한 사례가 없을 만큼 정확하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흔히 난소암은 유방암, 자궁경부암과 함께 3대 여성 암으로 꼽힌다. 특별한 자각 증상이 없어 3기 이상 말기 단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약 80%이다.
김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혈중암세포 검사로 난소암을 조기 진단해 생존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며 "기존의 침습적인 조직검사 외에는 난소암 파트에서 종양 감별진단에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검사가 드물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혈중암세포 검사가 국내 임상에서 활용되려면 상당 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암 진단을 넘어 혈중암세포를 면밀하게 분석해 정밀의학 개념의 '환자 맞춤형 치료법'까지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YTN PLUS] 취재 공영주 기자,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