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자산어보'도, '동주'도 시대와의 불화를 마주하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룬다. '자산어보'는 (그 과정을) 좀 더 재미있고 아름답게 이어가는 것 같다. 그런 점에서 흑보다는 백을 더욱 느낄 수 있는, 어둠보다 빛이 많은 영화다."(이준익 감독)
18일 서울 메가박스코엑스에서 영화 '자산어보'(감독 이준익) 언론배급시사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설경구, 변요한, 이정은, 이준익 감독이 참석했다.
영화는 흑산으로 유배된 후, 책보다 바다가 궁금해진 학자 정약전(설경구)과 바다를 벗어나 출셋길에 오르고 싶은 청년 어부 창대(변요한)가 '자산어보'를 집필하며 벗이 되어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자산어보'는 이준익 감독의 열 네번째 작품으로도 화제를 모았다.
이준익 감독은 "실존 인물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함부로 찍을 수 없는 소재다. 조선의 서학이라는 천주교가 들어오면서 벌어진 사건과 여기에 얽힌 인물의 사연을 다룬다"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정약전과 정약용의 경우 기록이 있지만, 창대는 이름만 있고 창대와 얽힌 이야기와 배경은 만들어낸 내용으로 고증과 허구가 섞여 있다. 또 조선시대를 흑백으로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을 것 같아 고집해서 만들었다"라고 연출 의도를 밝혔다.
정약전을 주인공으로 한 이유도 언급했다. 이준익 감독은 "우리의 역사를 공부하거나 정리할 때 근대에 대한 애매한 지점이 있다. 사극을 찍어오면서 한국에서 근대성을 어디서 찾아야 하나 고민이 많았다"고 말을 이었다.
그러면서 "커다란 사건, 정치, 전쟁사로 이를 표현하는 건 오류라고 생각했고 그보다 개인에 찾아야 한다고 봤다. 그 시대와 불화를 겪었던 개인을 찾다보면 (근대성의) 씨앗이 보일 것이라 생각했다"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 감독은 "영화는 정약용과 정약전의 대립이 아니라 차이를 조명하며 창대가 그 시대와의 불화 속 어떤 선택을 하는가를 보여준다. 200년 전 이야기지만 오늘이라고 다른가 싶었다. 개인주의와 현대성을 자산어보, 정약전이라는 인물을 통해 찾아가려 했다"라고 부연했다.
배우 설경구가 유배지 흑산도에서 바다 생물에 눈을 뜬 학자 정약전 역을 맡아 명불허전 존재감을 드러냈다.
설경구는 출연을 결정한 계기로 "몇 년 전에 영화제 무대 뒤에서 감독님을 만났다. '책 줘요' 하니까 열흘 뒤에 연락이 왔다. 그게 '자산어보' 였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에 사극 작품을 제안 받았는데 용기가 안 났다. '다음에 하자' 했던 게 지금에 온 것 같다. 첫 사극인데 이준익 감독님이어서 다행이다 싶다. 동시에 흑백영화라는 새로운 경험도 했다. 한 번의 결정으로 여러가지를 얻었다"라고 말했다.
설경구는 "실존 인물, 큰 학자의 이름을 배역으로 쓴다는 건 어려운 일이다. 섬에 들어가 배우들과 잘 놀자라는 마음으로 들어갔다. 사극이 처음이라 어려움이 있었는데 감독님이 용기 주셔서 그 말을 믿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변요한은 평생 살아온 흑산도를 벗어나기 위해 글 공부를 하는 청년 어부 창대 역을 맡아 한층 더 넓어진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인다.
변요한은 "촬영 전 유배지인 흑산도를 다녀왔다. 홍어 해체 교육도 받아 어려움은 없었다. 약전 선생님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해야 할지가 촬영 끝날 때까지 숙제였다"라고 이야기했다.
두 배우는 서로에 대한 고마움을 드러냈다. 설경구는 "서로가 서로의 스승이자 벗이 되는 영화다. 실제로는 그런 생각보다도 섬 안에서 똘똘 뭉쳐 촬영이 있을 때도, 없을 때도 잘 놀았다"라고 미소 지었다.
변요한은 "사랑하는 선배님이고, 더 사랑하게 됐다. 여러 가지로 많이 배우고 느꼈던 현장이었다. 직접적인 영향을 주려고 하시진 않았지만 자연스럽게 배우고 느낀 부분이 많다"라고 이야기했다.
여기에 이정은, 민도희, 차순배, 강기영이 합류했다. 뿐만 아니라 동방우, 정진영, 김의성, 방은진, 류승룡, 조승연, 최원영, 조우진, 윤경호가 우정출연해 극의 재미를 더한다.
이준익 감독은 "설경구 배우 덕분이었다. 유명함보다도 친숙함을 위한 장치였다. 우리에게 다소 생소한 자산어보, 정약전이 가까이 다가가길 바랐다"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배우와 감독은 "위로 받을 수 있는 영화"라고 표현했다.
이준익 감독은 "흑백이지만 컬러보다 더 많은 색이 가득 차 있는, 정말 자산(흑산) 같은 영화"라고 말했고, 설경구는 "시원한 자연 보며 위로 받으셨으면 좋겠다"라고 관람을 독려했다.
'자산어보'는 오는 31일 개봉한다.
YTN Star 반서연 기자 (uiopkl22@ytnplus.co.kr)
[사진제공 = 메가박스플러스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8일 서울 메가박스코엑스에서 영화 '자산어보'(감독 이준익) 언론배급시사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설경구, 변요한, 이정은, 이준익 감독이 참석했다.
영화는 흑산으로 유배된 후, 책보다 바다가 궁금해진 학자 정약전(설경구)과 바다를 벗어나 출셋길에 오르고 싶은 청년 어부 창대(변요한)가 '자산어보'를 집필하며 벗이 되어가는 이야기를 담았다.
'자산어보'는 이준익 감독의 열 네번째 작품으로도 화제를 모았다.
이준익 감독은 "실존 인물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함부로 찍을 수 없는 소재다. 조선의 서학이라는 천주교가 들어오면서 벌어진 사건과 여기에 얽힌 인물의 사연을 다룬다"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정약전과 정약용의 경우 기록이 있지만, 창대는 이름만 있고 창대와 얽힌 이야기와 배경은 만들어낸 내용으로 고증과 허구가 섞여 있다. 또 조선시대를 흑백으로 볼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을 것 같아 고집해서 만들었다"라고 연출 의도를 밝혔다.
정약전을 주인공으로 한 이유도 언급했다. 이준익 감독은 "우리의 역사를 공부하거나 정리할 때 근대에 대한 애매한 지점이 있다. 사극을 찍어오면서 한국에서 근대성을 어디서 찾아야 하나 고민이 많았다"고 말을 이었다.
그러면서 "커다란 사건, 정치, 전쟁사로 이를 표현하는 건 오류라고 생각했고 그보다 개인에 찾아야 한다고 봤다. 그 시대와 불화를 겪었던 개인을 찾다보면 (근대성의) 씨앗이 보일 것이라 생각했다"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 감독은 "영화는 정약용과 정약전의 대립이 아니라 차이를 조명하며 창대가 그 시대와의 불화 속 어떤 선택을 하는가를 보여준다. 200년 전 이야기지만 오늘이라고 다른가 싶었다. 개인주의와 현대성을 자산어보, 정약전이라는 인물을 통해 찾아가려 했다"라고 부연했다.
배우 설경구가 유배지 흑산도에서 바다 생물에 눈을 뜬 학자 정약전 역을 맡아 명불허전 존재감을 드러냈다.
설경구는 출연을 결정한 계기로 "몇 년 전에 영화제 무대 뒤에서 감독님을 만났다. '책 줘요' 하니까 열흘 뒤에 연락이 왔다. 그게 '자산어보' 였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거에 사극 작품을 제안 받았는데 용기가 안 났다. '다음에 하자' 했던 게 지금에 온 것 같다. 첫 사극인데 이준익 감독님이어서 다행이다 싶다. 동시에 흑백영화라는 새로운 경험도 했다. 한 번의 결정으로 여러가지를 얻었다"라고 말했다.
설경구는 "실존 인물, 큰 학자의 이름을 배역으로 쓴다는 건 어려운 일이다. 섬에 들어가 배우들과 잘 놀자라는 마음으로 들어갔다. 사극이 처음이라 어려움이 있었는데 감독님이 용기 주셔서 그 말을 믿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변요한은 평생 살아온 흑산도를 벗어나기 위해 글 공부를 하는 청년 어부 창대 역을 맡아 한층 더 넓어진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인다.
변요한은 "촬영 전 유배지인 흑산도를 다녀왔다. 홍어 해체 교육도 받아 어려움은 없었다. 약전 선생님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해야 할지가 촬영 끝날 때까지 숙제였다"라고 이야기했다.
두 배우는 서로에 대한 고마움을 드러냈다. 설경구는 "서로가 서로의 스승이자 벗이 되는 영화다. 실제로는 그런 생각보다도 섬 안에서 똘똘 뭉쳐 촬영이 있을 때도, 없을 때도 잘 놀았다"라고 미소 지었다.
변요한은 "사랑하는 선배님이고, 더 사랑하게 됐다. 여러 가지로 많이 배우고 느꼈던 현장이었다. 직접적인 영향을 주려고 하시진 않았지만 자연스럽게 배우고 느낀 부분이 많다"라고 이야기했다.
여기에 이정은, 민도희, 차순배, 강기영이 합류했다. 뿐만 아니라 동방우, 정진영, 김의성, 방은진, 류승룡, 조승연, 최원영, 조우진, 윤경호가 우정출연해 극의 재미를 더한다.
이준익 감독은 "설경구 배우 덕분이었다. 유명함보다도 친숙함을 위한 장치였다. 우리에게 다소 생소한 자산어보, 정약전이 가까이 다가가길 바랐다"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배우와 감독은 "위로 받을 수 있는 영화"라고 표현했다.
이준익 감독은 "흑백이지만 컬러보다 더 많은 색이 가득 차 있는, 정말 자산(흑산) 같은 영화"라고 말했고, 설경구는 "시원한 자연 보며 위로 받으셨으면 좋겠다"라고 관람을 독려했다.
'자산어보'는 오는 31일 개봉한다.
YTN Star 반서연 기자 (uiopkl22@ytnplus.co.kr)
[사진제공 = 메가박스플러스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