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원작 중국 작가의 혐한 논란과 역사 왜곡 논란 등에 휩싸였던 tvN 토일드라마 ‘철인왕후’가 결국 인물 설정도 수정했다.
‘철인왕후’는 지난 13일 방송에서 실존 인물인 신정왕후를 부적을 사용하고 저주를 내리는 등 미신에 심취한 인물로 표현했다. 이에 신정왕후의 후손인 풍양 조씨 종친회 역시 강력 반발하며 논란이 불거졌다.
결국 ‘철인왕후’ 제작진은 관련 논란을 의식한 듯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된 인물관계도 속 '풍양 조문'을 '풍안 조문'으로 '안동 김문'이 '안송 김문'으로 수정했다.
앞서 ‘철인왕후’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을 '지라시'로 표현하거나 ‘철인왕후’의 원작인 '태자비승직기' 작가가 전작에서 한국인을 비하했다는 사실 등이 알려지며 방송 직후 방송통심심의위원회에 700건이 넘는 민원이 접수되기도 했다.
이에 제작진이 공식 사과하고 해명했으나 ‘철인왕후’는 높은 시청률이 무색할 정도로 각종 논란에 휩싸이며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YTN star 김성현 기자 (jamkim@ytnplus.co.kr)
[사진 제공 = tvN]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철인왕후’는 지난 13일 방송에서 실존 인물인 신정왕후를 부적을 사용하고 저주를 내리는 등 미신에 심취한 인물로 표현했다. 이에 신정왕후의 후손인 풍양 조씨 종친회 역시 강력 반발하며 논란이 불거졌다.
결국 ‘철인왕후’ 제작진은 관련 논란을 의식한 듯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된 인물관계도 속 '풍양 조문'을 '풍안 조문'으로 '안동 김문'이 '안송 김문'으로 수정했다.
앞서 ‘철인왕후’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을 '지라시'로 표현하거나 ‘철인왕후’의 원작인 '태자비승직기' 작가가 전작에서 한국인을 비하했다는 사실 등이 알려지며 방송 직후 방송통심심의위원회에 700건이 넘는 민원이 접수되기도 했다.
이에 제작진이 공식 사과하고 해명했으나 ‘철인왕후’는 높은 시청률이 무색할 정도로 각종 논란에 휩싸이며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YTN star 김성현 기자 (jamkim@ytnplus.co.kr)
[사진 제공 = tvN]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