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새', 韓영화제작가협회 작품상...'기생충' 감독상 등 3관왕 영예

'벌새', 韓영화제작가협회 작품상...'기생충' 감독상 등 3관왕 영예

2019.12.05. 오전 11:1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한국영화제작가협회가 제6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개최에 앞서 5일 총 16개 부문의 수상자를 공개했다.

작품상 수상작은 '벌새'다. '벌새'는 중학교 2학년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과 감정선을 밀도 있게 그려냈다. 감독상은 '기생충'의 봉준호 감독이 받는다. 봉 감독은 극과 극의 삶을 살던 두 가족이 만나 걷잡을 수 없는 사건에 휘말리며 벌어지는 과정을 신선하고 충격적인 이야기로 연출했다. 각본상은 '국가부도의 날'의 엄성민 작가가 영예를 안았다. 엄성민 작가는 IMF 현실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살아남으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그려냈다.

남우주연상은 '증인'의 정우성, 여우주연상은 '생일' 전도연이 받게 됐다. 정우성은 소통 불가능한 자폐 목격자에게 따뜻한 시선으로 다가가 진정한 소통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연기를 펼쳤다. 전도연은 세월호 참사 이후 자식을 잃고 시간도 멈춰버린 순남의 가슴 절절한 모성애를 연기했다.

남우조연상은 '스윙키즈'의 오정세, 여우조연상은 '나랏말싸미'의 故전미선에게 돌아갔다. 오정세는 오합지졸 댄스단에서 잃어버린 아내를 찾기 위해 유명해지려고 노력하는 사랑꾼 연기를 펼쳤다. 故전미선은 모두가 반대하는 한글 창제를 위해 애쓰는 세종대왕을 묵묵히 돕는 소헌왕후 역을 맡았다.

올해 공로상 수상자는 이장호 감독이다. '별들의 고향'(1974)으로 데뷔한 뒤 '바람 불어 좋은 날' '어둠의 자식들' '바보 선언' '무릎과 무릎사이' '어우동'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등을 연출한 감독으로, 제작사 판영화를 설립(1986)한 뒤 한국영화 부흥의 초석을 다진 제작자로 활동한 그는 영화다양성확보와 독과점해소를위한 영화인대책위 고문, 한국영화100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을 역임(2019)하는 등 현재까지 한국영화발전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kreative thinking상(이하 kth상) 수상작은 '나의 특별한 형제'(제작 명필름)이다. kth는 "장애인을 바라보는 스테레오타입에서 벗어나 코미디라는 장르를 통해 자연스럽고 유쾌하게 대중들에게 새로운 가족의 의미를 제시했다"라고 선정 배경을 밝혔다.

한국영화제작가협회가 주관하고 KTH와 영화진흥위원회, 비타브리드가 후원하는 제6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은 오는 17일 오후 6시 30분부터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다.

이하 수상작(자) 명단

작품상='벌새' 김보라·조수아 (제작 에피파니·매스오너먼트)
감독상='기생충' 봉준호 (제작 바른손이앤에이)
각본상='국가부도의 날' 엄성민 (제작 영화사집)
남우주연상='증인' 정우성 (제작 무비락·도서관옆스튜디오)
여우주연상='생일' 전도연 (제작 나우필름·영화사레드피터·파인하우스필름)
남우조연상='스윙키즈' 오정세 (제작 안나푸르나필름)
여우조연상='나랏말싸미' 故전미선 (제작 영화사두둥)
촬영상='봉오동 전투' 김영호 (제작 빅스톤픽쳐스·더블유픽쳐스·쇼박스)
조명상='기생충' 김창호 (제작 바른손이앤에이)
미술상='기생충' 이하준 (제작 바른손이앤에이)
편집상='극한직업' 남나영 (제작 어바웃필름·영화사해그림·CJ E&M)
음악상='스윙키즈' 김준석 (제작 안나푸르나필름)
음향상='봉오동 전투' 공태원 (제작 빅스톤픽쳐스·더블유픽쳐스·쇼박스)
기술상='엑시트' 특수효과 정도안, 故천래훈 (제작 외유내강·필름케이)
공로상=이장호 감독
kreative thinking상='나의 특별한 형제' 명필름

YTN Star 조현주 기자(jhjdhe@ytnplus.co.kr)
[사진제공=벌새, 기생충 포스터]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