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군산' 시나리오를 구상하는데 박해일이 가장 먼저 떠올랐다." (장률 담독)
5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문화홀에서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이하 부국제) 갈라프리젠테이션 초청작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자리에는 장률 감독과 배우 박해일이 참석했다.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는 오랜 지인이던 남녀가 갑자기 함께 떠난 군산여행에서 맞닥뜨리는 인물과 소소한 사건을 그린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남녀 감정의 미묘한 드라마를 세밀하게 담아낸 작품이다. 부국제 메인 섹션인 갈라프레젠테이션 부문에 공식 초청되며 기대를 모은 작품이다.
영화는 '경주'(2013), '춘몽'(2016) 등을 통해 지역과 공간을 아우르는 독보적인 시선과 방식을 구축하며 평단은 물론 관객의 지지를 받아온 장률 감독의 11번째 작품. 장 감독이 한국에서 만든 6번째 장편작품이기도 하다.
이날 장률 감독은 연출 계기에 대해 "원래 시작은 목포였다. 목포에 한번 갔는데 인상이 깊었다. 일제 시대 건물이 많이 남아있고 그 정서가 많이 남아있더라"고 운을 뗐다.
장 감독은 "다만 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민박집을 못 찾아 군산으로 도시를 옮겼다"며 "군산이 (목포보다) 좀 더 질감이 부드러워 보였다. 남녀가 같이 가서 연애하고 싶은 곳도 되지 않겠는가 싶었다. 영화의 리듬과 전사들이 공간을 바꾸면서 같이 바뀌고 극의 가닥이 잡혔다"고 설명했다.
이날 장률 감독은 시나리오를 구상하자마자 박해일이 떠올랐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어떤 인물이 그 장소에 가겠는가를 생각했는데, 제일 처음 떠오른 사람은 박해일이었다. 함께 답사도 하고 이야기를 만들어갔다"고 말했다.
'경주'(2013), '필름시대사랑'(2015)에 이어 배우 박해일이 주인공 윤영 역을 맡아 열연했다. 이번 작품으로 박해일은 장률 감독과 세번째 호흡을 맞췄다.
박해일은 "‘경주’에 이어 장률 감독님과 부산국제영화제를 찾게 돼 기쁘다"고 웃었다.
그러면서 "감독님과 작업을 하다보면 무슨 이야기를 하실까를 궁금해 옆에서 지켜보게 된다"며 "주변에서 장률 감독이 어떤 분인지 굉장히 궁금해하시는데, 배우를 보듬는 능력 탁월한 분"이라고 장률 감독과의 작업의 매력을 밝혔다.
다만 장률 감독의 작품의 경우 은유와 함의가 짙은 탓에 배우가 배역을 연구하는데 쉽지 않다. 이에 대해 박해일은 "굳이 (작품이 지닌 의미를) 해석하려고 하지 않았다. 시나리오를 보고 직관적으로 연기하고자 했다. 감독님에 대한 신뢰가 없으면 힘들었을 작업"이라고 믿음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저조차 완성된 작품의 결과물을 봤을 때 온전히 해석이 되진 않는다. '경주' 역시 몇 번을 봤지만 정확히 가늠이 안된다. 이처럼 감독님 작품은 볼수록 곱씹을 수 있다. 이번 작품도 그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률 감독 역시 박해일에 고마워했다. 그는 박해일에 대해 "연기를 잘하는 배우는 많다. 다만 그 방향이 하나인 경우가 많은데 박해일은 방향이 다양하다. 가능성이 무한하다는 말"이라고 극찬했다.
이어 "(박해일은) 시인 같은 면이 있다. 그들은 좀 이상하지 않나. (웃음)
우스개소리지만 자기만이 가진 면모가 있다는 말이다. 저는 그 부분에 여전히 흥미가 있다"며 애정을 드러냈다.
장률 감독과 박해일, 두 사람의 차진 호흡은 묵직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번 작품 속에 감독은 미묘한 남녀의 일상 이야기 속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의 이야기를 담아내 눈길을 끈다.
장률 감독은 "한·중·일 세 나라는 역사상으로도 그렇고 어떻더라도 같이 가야한다"며 "특히 우리 일상에서 디테일하게 부딪치는, 내 몸으로 느낄 수 있는 부분을 그리려했다. 다만 그 답은 감독으로서 줄 수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감독은 (답을 알 수 없는) 삶에서 자기의 리듬을 갖고 그 궁금한 것을 찾아가는 과정인 것 같다. 그 리듬을 관객들에게 보여주되 관객들은 각자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스스로 생각했으면 한다"고 바람을 드러냈다.
올해 영화제는 13일까지 영화의 전당, CGV센텀시티, 롯데시네마센텀시티, 메가박스 해운대 등 5개 극장 30개 스크린에서 열린다. 개막작으로는 윤재호 감독의 '뷰티풀 데이즈'가, 폐막작에는 홍콩 원화평 감독의 '엽문 외전'이 선정됐다. 총 79개국 323편의 영화가 관객을 만난다.
부산=YTN Star 반서연 기자 (uiopkl22@ytnplus.co.kr)
[사진출처 = 뉴시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5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문화홀에서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이하 부국제) 갈라프리젠테이션 초청작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자리에는 장률 감독과 배우 박해일이 참석했다.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는 오랜 지인이던 남녀가 갑자기 함께 떠난 군산여행에서 맞닥뜨리는 인물과 소소한 사건을 그린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남녀 감정의 미묘한 드라마를 세밀하게 담아낸 작품이다. 부국제 메인 섹션인 갈라프레젠테이션 부문에 공식 초청되며 기대를 모은 작품이다.
영화는 '경주'(2013), '춘몽'(2016) 등을 통해 지역과 공간을 아우르는 독보적인 시선과 방식을 구축하며 평단은 물론 관객의 지지를 받아온 장률 감독의 11번째 작품. 장 감독이 한국에서 만든 6번째 장편작품이기도 하다.
이날 장률 감독은 연출 계기에 대해 "원래 시작은 목포였다. 목포에 한번 갔는데 인상이 깊었다. 일제 시대 건물이 많이 남아있고 그 정서가 많이 남아있더라"고 운을 뗐다.
장 감독은 "다만 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민박집을 못 찾아 군산으로 도시를 옮겼다"며 "군산이 (목포보다) 좀 더 질감이 부드러워 보였다. 남녀가 같이 가서 연애하고 싶은 곳도 되지 않겠는가 싶었다. 영화의 리듬과 전사들이 공간을 바꾸면서 같이 바뀌고 극의 가닥이 잡혔다"고 설명했다.
이날 장률 감독은 시나리오를 구상하자마자 박해일이 떠올랐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어떤 인물이 그 장소에 가겠는가를 생각했는데, 제일 처음 떠오른 사람은 박해일이었다. 함께 답사도 하고 이야기를 만들어갔다"고 말했다.
'경주'(2013), '필름시대사랑'(2015)에 이어 배우 박해일이 주인공 윤영 역을 맡아 열연했다. 이번 작품으로 박해일은 장률 감독과 세번째 호흡을 맞췄다.
박해일은 "‘경주’에 이어 장률 감독님과 부산국제영화제를 찾게 돼 기쁘다"고 웃었다.
그러면서 "감독님과 작업을 하다보면 무슨 이야기를 하실까를 궁금해 옆에서 지켜보게 된다"며 "주변에서 장률 감독이 어떤 분인지 굉장히 궁금해하시는데, 배우를 보듬는 능력 탁월한 분"이라고 장률 감독과의 작업의 매력을 밝혔다.
다만 장률 감독의 작품의 경우 은유와 함의가 짙은 탓에 배우가 배역을 연구하는데 쉽지 않다. 이에 대해 박해일은 "굳이 (작품이 지닌 의미를) 해석하려고 하지 않았다. 시나리오를 보고 직관적으로 연기하고자 했다. 감독님에 대한 신뢰가 없으면 힘들었을 작업"이라고 믿음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저조차 완성된 작품의 결과물을 봤을 때 온전히 해석이 되진 않는다. '경주' 역시 몇 번을 봤지만 정확히 가늠이 안된다. 이처럼 감독님 작품은 볼수록 곱씹을 수 있다. 이번 작품도 그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률 감독 역시 박해일에 고마워했다. 그는 박해일에 대해 "연기를 잘하는 배우는 많다. 다만 그 방향이 하나인 경우가 많은데 박해일은 방향이 다양하다. 가능성이 무한하다는 말"이라고 극찬했다.
이어 "(박해일은) 시인 같은 면이 있다. 그들은 좀 이상하지 않나. (웃음)
우스개소리지만 자기만이 가진 면모가 있다는 말이다. 저는 그 부분에 여전히 흥미가 있다"며 애정을 드러냈다.
장률 감독과 박해일, 두 사람의 차진 호흡은 묵직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번 작품 속에 감독은 미묘한 남녀의 일상 이야기 속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의 이야기를 담아내 눈길을 끈다.
장률 감독은 "한·중·일 세 나라는 역사상으로도 그렇고 어떻더라도 같이 가야한다"며 "특히 우리 일상에서 디테일하게 부딪치는, 내 몸으로 느낄 수 있는 부분을 그리려했다. 다만 그 답은 감독으로서 줄 수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감독은 (답을 알 수 없는) 삶에서 자기의 리듬을 갖고 그 궁금한 것을 찾아가는 과정인 것 같다. 그 리듬을 관객들에게 보여주되 관객들은 각자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스스로 생각했으면 한다"고 바람을 드러냈다.
올해 영화제는 13일까지 영화의 전당, CGV센텀시티, 롯데시네마센텀시티, 메가박스 해운대 등 5개 극장 30개 스크린에서 열린다. 개막작으로는 윤재호 감독의 '뷰티풀 데이즈'가, 폐막작에는 홍콩 원화평 감독의 '엽문 외전'이 선정됐다. 총 79개국 323편의 영화가 관객을 만난다.
부산=YTN Star 반서연 기자 (uiopkl22@ytnplus.co.kr)
[사진출처 = 뉴시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