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나영석 PD가 인터넷 예능 '신서유기'의 기획 이유는 '도전'이라고 밝혔다.
15일 서울 상암동 문화창조융합센터에서 열린 '융복합 콘텐츠 공모전 설명회' 연사로 참석한 나영석 PD는 "기존 콘텐츠 산업은 분명한 장르적 한계에 봉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플랫폼을 넘어선 콘텐츠의 새로운 도전은 글로벌 진출 등 새로운 시장의 확대와 제작 과정의 패러다임 변화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영석 PD는 '신서유기'를 기획할 때 '어떻게 웹으로 방송할 수 있을까'가 아닌 '어떻게 하면 재밌을까'라는 고민 끝에 시청자와 만나는 새로운 접점을 찾아냈다고 했다.
자신이 지상파를 떠나 CJ E&M에서 새롭게 도전을 했던 만큼, 창작자들에게도 문화창조융합센터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세상을 놀라게 할 특별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응원의 말도 남겼다. 그러면서 "융복합이란 내가 잘하는 것(방송)을 제외한 모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호동, 이승기, 은지원, 이수근까지 '1박 2일' 원년 멤버들이 뭉친 '신서유기'는 중국 한가운데서 펼쳐지는 리얼 모험 이야기. 방송이 아닌 인터넷으로 공개돼 한국과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 현재까지 2,500만건이 넘는 폭발적인 재생수를 기록하고 있다.
'꽃보다 할배', '삼시세끼' 등 손대는 프로그램마다 대박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나영석 PD는 많은 제약 조건 속에서도 디지털 플랫폼의 진화, 콘텐츠 소비 패턴 변화에의 대응을 통해 새로운 시장 개척의 가능성을 파악해 보고 싶다고 전했다.
YTN PLUS (press@ytnplus.co.kr)
[사진출처 = tvN '신서유기']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15일 서울 상암동 문화창조융합센터에서 열린 '융복합 콘텐츠 공모전 설명회' 연사로 참석한 나영석 PD는 "기존 콘텐츠 산업은 분명한 장르적 한계에 봉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플랫폼을 넘어선 콘텐츠의 새로운 도전은 글로벌 진출 등 새로운 시장의 확대와 제작 과정의 패러다임 변화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영석 PD는 '신서유기'를 기획할 때 '어떻게 웹으로 방송할 수 있을까'가 아닌 '어떻게 하면 재밌을까'라는 고민 끝에 시청자와 만나는 새로운 접점을 찾아냈다고 했다.
자신이 지상파를 떠나 CJ E&M에서 새롭게 도전을 했던 만큼, 창작자들에게도 문화창조융합센터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세상을 놀라게 할 특별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응원의 말도 남겼다. 그러면서 "융복합이란 내가 잘하는 것(방송)을 제외한 모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호동, 이승기, 은지원, 이수근까지 '1박 2일' 원년 멤버들이 뭉친 '신서유기'는 중국 한가운데서 펼쳐지는 리얼 모험 이야기. 방송이 아닌 인터넷으로 공개돼 한국과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 현재까지 2,500만건이 넘는 폭발적인 재생수를 기록하고 있다.
'꽃보다 할배', '삼시세끼' 등 손대는 프로그램마다 대박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나영석 PD는 많은 제약 조건 속에서도 디지털 플랫폼의 진화, 콘텐츠 소비 패턴 변화에의 대응을 통해 새로운 시장 개척의 가능성을 파악해 보고 싶다고 전했다.
YTN PLUS (press@ytnplus.co.kr)
[사진출처 = tvN '신서유기']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