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매몰된 작업자 5명 가운데 1명의 시신이 수습됐습니다.
지난 6일 의식이 있는 상태로 발견됐지만 구조에 예상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면서 그사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차상은 기자!
[기자]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현장에서 매몰자 1명의 시신이 수습됐다고요.
[기자]
붕괴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1명의 시신이 수습됐습니다.
수습된 시각은 오전 11시쯤으로, 사고 발생 69시간 만입니다.
발견된 작업자는 40대 남성으로, 지난 6일 오후 팔이 끼인 채 발견됐고 당시에는 의식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너진 잔해 탓에 시간이 걸리면서 다음 날 새벽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
앞서 사고 현장은 인근 타워의 추가 붕괴 우려로 지난 밤사이 내부 수색이 중단됐습니다.
구조안전 전문가와 협의 후 오늘 오전 10시 반쯤부터 구조대원 17명이 투입돼 매몰자에 대한 추가 구조작업이 이뤄졌습니다.
현재 붕괴사고 현장에 매몰돼 있는 작업자는 모두 4명입니다.
매몰자 2명의 위치는 파악됐지만 이미 숨진 것으로 추정되고 나머지 2명은 아직 매몰 위치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가운데 5명이 구조됐습니다.
구조 인원 5명 가운데 3명은 숨졌고 2명은 중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붕괴 위험성이 있는 4호기와 6호기 해체도 조만간 이뤄지죠.
구조 당국은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의 양옆에 있는 4호기와 6호기를 해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매몰자를 구조하기 위해서는 대형 크레인 등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지만, 인근 타워의 추가 붕괴 위험이 커 투입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매몰된 작업자들을 하루빨리 구조하려는 조치로, 현재 4호기와 6호기에 대한 발파 작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발파에 앞서 보일러 타워의 철근 기둥을 자르는 취약화 작업이 먼저 이뤄지고 있습니다.
소방 당국은 4호기의 경우 취약화 작업이 모두 마무리됐고 남은 6호기에 대해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무너진 5호기가 취약화 작업을 진행하다 붕괴사고가 난 만큼 구조안전 전문가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고수습본부는 발파 준비를 위해 어제(8일) 오후부터 필수 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들에 대해 현장 철수를 지시했습니다.
보일러 타워 4호기와 6호기를 발파해 해체한 이후 남은 매몰자에 대한 구조작업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에서 YTN 차상은입니다.
YTN 차상은 (chas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매몰된 작업자 5명 가운데 1명의 시신이 수습됐습니다.
지난 6일 의식이 있는 상태로 발견됐지만 구조에 예상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면서 그사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차상은 기자!
[기자]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앵커]
현장에서 매몰자 1명의 시신이 수습됐다고요.
[기자]
붕괴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1명의 시신이 수습됐습니다.
수습된 시각은 오전 11시쯤으로, 사고 발생 69시간 만입니다.
발견된 작업자는 40대 남성으로, 지난 6일 오후 팔이 끼인 채 발견됐고 당시에는 의식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너진 잔해 탓에 시간이 걸리면서 다음 날 새벽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
앞서 사고 현장은 인근 타워의 추가 붕괴 우려로 지난 밤사이 내부 수색이 중단됐습니다.
구조안전 전문가와 협의 후 오늘 오전 10시 반쯤부터 구조대원 17명이 투입돼 매몰자에 대한 추가 구조작업이 이뤄졌습니다.
현재 붕괴사고 현장에 매몰돼 있는 작업자는 모두 4명입니다.
매몰자 2명의 위치는 파악됐지만 이미 숨진 것으로 추정되고 나머지 2명은 아직 매몰 위치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가운데 5명이 구조됐습니다.
구조 인원 5명 가운데 3명은 숨졌고 2명은 중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붕괴 위험성이 있는 4호기와 6호기 해체도 조만간 이뤄지죠.
구조 당국은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의 양옆에 있는 4호기와 6호기를 해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매몰자를 구조하기 위해서는 대형 크레인 등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지만, 인근 타워의 추가 붕괴 위험이 커 투입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매몰된 작업자들을 하루빨리 구조하려는 조치로, 현재 4호기와 6호기에 대한 발파 작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발파에 앞서 보일러 타워의 철근 기둥을 자르는 취약화 작업이 먼저 이뤄지고 있습니다.
소방 당국은 4호기의 경우 취약화 작업이 모두 마무리됐고 남은 6호기에 대해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무너진 5호기가 취약화 작업을 진행하다 붕괴사고가 난 만큼 구조안전 전문가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고수습본부는 발파 준비를 위해 어제(8일) 오후부터 필수 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인원들에 대해 현장 철수를 지시했습니다.
보일러 타워 4호기와 6호기를 발파해 해체한 이후 남은 매몰자에 대한 구조작업을 이어갈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에서 YTN 차상은입니다.
YTN 차상은 (chas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