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DMZ의 생태·평화적 가치를 공유하고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는 국제 학술회의인 'DMZ 오픈 에코피스 포럼'이 개막했습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개회사에서 DMZ를 평화의 기원지로 바꾸기 위한 경기도의 노력을 소개하며 "경기도가 더 큰 평화 만드는 플레이메이커 역할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개회식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 생태학자 최재천 교수, 청년 등 2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조 세션은 세계적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 교수의 강연으로 시작됐습니다.
샌델 교수는 '세대 간 정의와 공동선의 관점에서 본 평화'를 주제로 기후·생태 위기 시대에 공동선의 회복과 세대 간 책임의 윤리를 강조했습니다.
센델 교수는 하버드대 강의 형식으로 청년 청중과 자유롭게 질의 응답을 주고받으며 "정의로운 사회는 각 세대가 서로에게 책임을 지는 사회이며 평화는 이러한 세대 간 정의의 연장선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진 기조 대담에서는 김 지사, 샌델 교수, 최재천 교수가 함께 '평화·정의·생태·세대의 관점에서 본 DMZ의 미래'를 주제로 자유토론을 펼쳤습니다.
경기도는 이번 기조 세션을 통해 지난 3년간 이어온 '더 큰 평화' 담론을 마무리하고 DMZ를 평화·생태·세대 정의가 만나는 미래의 공간으로 재정의했습니다.
이번 논의를 계기로 경기도는 평화를 설계하고 실천하는 '열린 DMZ(OPEN DMZ)'의 비전을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갈 계획입니다.
4일에는 '평화와 생태'를 주제로 한 심층 논의가 이어집니다.
'적대로부터 환대로: 한반도의 안정적 공존과 평화'를 대주제로 한 평화세션에서는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의 공존 방안과 남북이 함께 할 수 있는 협력의 길을 찾아봅니다.
생태 세션은 시민과 함께 그려온 2050년 한국의 미래상을 공유하고, 국제적 기후·생태 위기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꾸려집니다.
또 각 세션 좌장이 모여 이번 포럼의 성과를 정리하고 비전을 제시하는 라운드테이블이 마련됩니다.
5일에는 '특별세션'이 진행됩니다.
유럽 통합 경험을 토대로 한반도 평화와 남북 교류 전략을 모색하는 국제 학술회의와 청년이 주도하는 국제 평화 세미나가 동시에 개최됩니다.
청년 세미나에서는 방송 '비정상회담'으로 잘 알려진 독일인 방송인 다니엘 린데만이 사회를 맡아 국내외 청년들과 함께 토크콘서트를 진행합니다.
이어지는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평화 담론을 구체화하고 '청년 한반도 평화 선언문'을 채택합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개회사에서 DMZ를 평화의 기원지로 바꾸기 위한 경기도의 노력을 소개하며 "경기도가 더 큰 평화 만드는 플레이메이커 역할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개회식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 생태학자 최재천 교수, 청년 등 20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조 세션은 세계적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 교수의 강연으로 시작됐습니다.
샌델 교수는 '세대 간 정의와 공동선의 관점에서 본 평화'를 주제로 기후·생태 위기 시대에 공동선의 회복과 세대 간 책임의 윤리를 강조했습니다.
센델 교수는 하버드대 강의 형식으로 청년 청중과 자유롭게 질의 응답을 주고받으며 "정의로운 사회는 각 세대가 서로에게 책임을 지는 사회이며 평화는 이러한 세대 간 정의의 연장선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진 기조 대담에서는 김 지사, 샌델 교수, 최재천 교수가 함께 '평화·정의·생태·세대의 관점에서 본 DMZ의 미래'를 주제로 자유토론을 펼쳤습니다.
경기도는 이번 기조 세션을 통해 지난 3년간 이어온 '더 큰 평화' 담론을 마무리하고 DMZ를 평화·생태·세대 정의가 만나는 미래의 공간으로 재정의했습니다.
이번 논의를 계기로 경기도는 평화를 설계하고 실천하는 '열린 DMZ(OPEN DMZ)'의 비전을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갈 계획입니다.
4일에는 '평화와 생태'를 주제로 한 심층 논의가 이어집니다.
'적대로부터 환대로: 한반도의 안정적 공존과 평화'를 대주제로 한 평화세션에서는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의 공존 방안과 남북이 함께 할 수 있는 협력의 길을 찾아봅니다.
생태 세션은 시민과 함께 그려온 2050년 한국의 미래상을 공유하고, 국제적 기후·생태 위기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꾸려집니다.
또 각 세션 좌장이 모여 이번 포럼의 성과를 정리하고 비전을 제시하는 라운드테이블이 마련됩니다.
5일에는 '특별세션'이 진행됩니다.
유럽 통합 경험을 토대로 한반도 평화와 남북 교류 전략을 모색하는 국제 학술회의와 청년이 주도하는 국제 평화 세미나가 동시에 개최됩니다.
청년 세미나에서는 방송 '비정상회담'으로 잘 알려진 독일인 방송인 다니엘 린데만이 사회를 맡아 국내외 청년들과 함께 토크콘서트를 진행합니다.
이어지는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평화 담론을 구체화하고 '청년 한반도 평화 선언문'을 채택합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