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경기도는 내년 본 예산을 올해보다 1조1천825억 원, 3.1% 증가한 39조9천46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밝혔습니다.
김성중 행정1부지사는 예산안 관련 기자회견에서 "경기도는 재정의 본래 역할을 흔들림 없이 이어가겠다"면서 "재정이 민생과 미래를 지탱하는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도는 내년도 본예산으로 추진하는 핵심 분야가 민생경제, 미래성장, 돌봄·안전, 지역개발·균형발전 4가지라고 설명했습니다.
민생경제 분야에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전통시장 현대화와 '힘내GO카드',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 등에 1천194억 원 규모 지원 예산을 투입합니다.
미래성장을 위해 반도체, AI, 로봇, 기후테크 같은 첨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1천382억 원을 씁니다.
돌봄·안전 분야에는 영유아 무상보육, 누리과정 지원, 장애인 맞춤 돌봄 확대 등 돌봄 서비스 강화에 9천636억 원을 편성했고, 안전 인프라 확충에 3천624억 원을 투입합니다.
지역개발·균형발전 분야에는 광역철도, 국지도 확포장, 도시숲·도서관·주차장 등 생활 사회 간접 자본 확충을 포함한 지역개발 사업에 6천560억 원을 투자합니다.
본예산은 도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다음 달 확정됩니다.
YTN 최기성 (choiks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김성중 행정1부지사는 예산안 관련 기자회견에서 "경기도는 재정의 본래 역할을 흔들림 없이 이어가겠다"면서 "재정이 민생과 미래를 지탱하는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도는 내년도 본예산으로 추진하는 핵심 분야가 민생경제, 미래성장, 돌봄·안전, 지역개발·균형발전 4가지라고 설명했습니다.
민생경제 분야에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전통시장 현대화와 '힘내GO카드',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 등에 1천194억 원 규모 지원 예산을 투입합니다.
미래성장을 위해 반도체, AI, 로봇, 기후테크 같은 첨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1천382억 원을 씁니다.
돌봄·안전 분야에는 영유아 무상보육, 누리과정 지원, 장애인 맞춤 돌봄 확대 등 돌봄 서비스 강화에 9천636억 원을 편성했고, 안전 인프라 확충에 3천624억 원을 투입합니다.
지역개발·균형발전 분야에는 광역철도, 국지도 확포장, 도시숲·도서관·주차장 등 생활 사회 간접 자본 확충을 포함한 지역개발 사업에 6천560억 원을 투자합니다.
본예산은 도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다음 달 확정됩니다.
YTN 최기성 (choiks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