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안성시는 최근 공무원을 사칭해 물품 납품을 조건으로 선금을 요구하는 사기 사례가 급증함에 따라 시민과 업체 관계자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사칭범은 실제 공무원의 이름과 행정전화번호를 도용한 명함을 사용해 공무원인 것처럼 속인 뒤, 물품 납품을 조건으로 선금 지급을 요구하는 수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안성시 행정전화번호와 유사하게 조작된 전화번호가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일부 전화번호는 뒷자리 번호는 맞지만, 앞자리에 '00' 등의 숫자가 추가돼 국내 발신이 아닌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성시 관계자는 "공공기관은 전화로 선입금을 요구하지 않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물품 납품이나 계약을 빌미로 금전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업체에서는 피해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사기 의심 시 반드시 홈페이지나 해당 부서에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사칭범은 실제 공무원의 이름과 행정전화번호를 도용한 명함을 사용해 공무원인 것처럼 속인 뒤, 물품 납품을 조건으로 선금 지급을 요구하는 수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안성시 행정전화번호와 유사하게 조작된 전화번호가 확인되기도 했습니다.
일부 전화번호는 뒷자리 번호는 맞지만, 앞자리에 '00' 등의 숫자가 추가돼 국내 발신이 아닌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안성시 관계자는 "공공기관은 전화로 선입금을 요구하지 않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물품 납품이나 계약을 빌미로 금전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업체에서는 피해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사기 의심 시 반드시 홈페이지나 해당 부서에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